“명칭과 의미 마음에 안 들어”…‘올드머니 룩’에 소비자가 뿔났다?

김지호 2023. 10. 4. 22: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찐부자 패션?…올드머니 룩
“잘못 입으면 노머니 룩”

‘오래된 돈’인 올드머니(Old Money)는 오랜 시간 동안 상속받아 온 재산을 뜻한다. 여기서 유래한 올드머니 룩은 세대를 거듭해 부와 명성을 쌓아온 상류층의 옷과 차림새를 말한다. 이는 신흥 부자인 뉴머니(New Money)와 상반된다. 뉴머니가 부를 과시하는 화려함이라면 올드머니는 조용한 호화스러움이라고 할 수 있다. 패션에 브랜드 로고 노출을 피하고 고급스러운 소재에 더 신경 쓰는 것이다.

그러나 ‘찐부자 패션’으로 알려진 ‘올드머니 룩’이 비판받고 있다. 부모나 조부모에게 상속받은 재산을 뜻하는 올드머니에 대한 반감이 드러난 것. “올드머니는 사소한 태도에서 나온다. 유행하는 옷 입는다고 나오는 게 아니다”, “올드머니가 없는데 패션만 올드머니?” 등의 의견이 주를 이룬다. 또 ‘한국에서의 올드머니는 친일파’라는 의문과 패션 회사의 마케팅이라는 따가운 시선도 있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5월 23일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 홍보관 '하이커 그라운드'에서 열린 K-관광 협력단 출범식에서 한국방문의 해 위원회 위원장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에게 명예위원장 추대패를 받은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뉴시스
◆‘올드머니 룩’은 무엇인가?

올드머니 패션의 특징은 ‘콰이어트 럭셔리(Quiet Luxury)’다. 치렁치렁하고 반짝이는 장식 대신 자칫 평범해 보일 수 있는 옷을 착용한다. 로고가 보이지 않아 어떤 브랜드 옷을 입었는지 알아채기 어렵다. 대놓고 명품임을 과시하는 로고는 은밀한 부와 거리가 멀다는 취지다. 무채색이나 중간 정도의 색의 깔끔한 디자인과 고급 원단으로 은은하게 부를 표현한다.

대표적인 유명 인사로는 영국 다이애나비와 미국 케네디 가문의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의상이 올드머니 패션에 해당된다. 지난 5월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 이부진 사장이 ‘K-관광 협력단’ 출범식에 참석했다. 이날 이 사장은 명품 브랜드의 검정색 치마와 벨트를 착용했다. 이 사장이 선보인 패션 역시 올드머니 룩이라고 할 수 있다.

◆“잘못 입으면 노머니(N0 Money) 룩”

새로운 패션 트렌드인 올드머니 패션을 향한 국내 대중의 시선은 차갑다. 직장인 김모(27)씨는 “좋은 소재인 옷을 오래 입을 수 있다는 관점에선 긍정적이다”면서 “하지만 부자의 패션을 따라 입기 위해 고급 소재로 된 비싼 옷을 구매해야 하는데, 그런 점에선 과소비하게 될 수 있으므로 부정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부자처럼 보이기 위해 옷을 샀다가 실질적으로 통장은 비어 ‘노머니 룩’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도 올드머니 룩에 관한 비판을 찾아볼 수 있다. 한 게시글에는 올드머니라는 용어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당신의 나라는 식민 지배의 주체였나요?”라는 질문이 올라왔다. 답변은 총 3가지로 “네”라고 답변했을 때는 ‘제국주의자 룩’이라고 쓰여 있다. 반면 “아니오”라고 답변했을 땐 피지배 국가에선 ‘매국노 룩’, 그 외 국가에서 비로소 ‘올드머니 룩’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전했다.
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용자가 ‘올드머니 룩’의 명칭을 다시 정의하고 있다. X(구 트위터) 갈무리
‘올드머니’가 국내에선 친일파의 후손이라고 생각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용자. X(구 트위터) 갈무리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시된 ‘올드머니’에 대한 비판적인 글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온라인커뮤니티 갈무리
◆“대중이 상류층에 사회적 정당성 부여하지 않아”

올드머니 룩에 관한 부정적인 시선에 최항섭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국내 여론이 상류층에게 사회적 정당성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그동안 한국 사회에 이바지한 것보다 공정하지 못한 방식으로 상류층으로 올라갔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매우 많다”며 “그러므로 그런 상류층에게 정당성을 부여하지 않는 것이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유럽 사회의 경우 이미 상류층의 역사나 사회적 기여를 통해 그들의 지위와 활동에 대해서 정당성을 부여받아 사회적으로 비판적인 것이 별로 없다”며 “반면 한국 사회는 정반대로 올드머니라는 개념 자체에 한국 사회가 이미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최 교수는 불공정한 방법으로 빠르게 부를 축적한 뉴머니를 향한 비판이라고도 덧붙였다. 최 교수는 “대중이 (올드머니 보다)굉장히 빠르고 불공정한 방법으로 부를 축적한 사람들이 훨씬 더 많다고도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 정당하지 않음을 올드머니로 숨기려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올드머니 패션이 일종의 연출처럼 느껴지니까 이에 대중이 위선을 느끼고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고 전했다.

김지호 기자 kimjaw@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