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외세력의 국내 여론조작 가능성 주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각국 정부 기관 등이 개입한 '가짜뉴스' 유포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 정보당국도 관련 동향을 주시하며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국가정보원 관계자는 4일 "해외세력의 국내 주요 안보 이슈에 대한 여론조작 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주시 중"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최근 각국 정부 기관 등이 개입한 '가짜뉴스' 유포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 정보당국도 관련 동향을 주시하며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국가정보원 관계자는 4일 "해외세력의 국내 주요 안보 이슈에 대한 여론조작 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주시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미국 국무부 산하 가짜뉴스 대응 조직인 '국제관여센터'(GEC)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중국 당국이 선전, 허위정보 등 자국에 유리한 정보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십억달러를 투자해왔다'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를 위해 해외 미디어 기업을 인수하거나 온라인 인플루언서를 후원하고 정치인·언론인 포섭을 시도하기도 했다. 중국 업체가 운영하는 위챗,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도 이 같은 활동에 이용되고 있다는 게 미 GEC의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우리 포털사이트 '다음'의 중국 항저우(杭州) 아시안게임(AG) 응원 페이지에서도 여론조작 의혹이 불거진 상황. 이달 1일 치러진 항저우 AG 남자축구 8강전 한국 대 중국 경기에서 중국을 응원한 클릭 수가 한때 전체의 91%까지 치솟았던 것이다.
다음 운영사인 카카오(035720) 측 분석 결과 해당 클릭의 절대 다수는 가상사설망(VPN)을 이용한 해외 접속자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발생시킨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법무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부처가 참여하는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을 마련토록 지시했다고 국무조정실이 전했다.
반면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30일 미 GEC의 보고서 내용이야말로 "허위 정보"라며 "세계 최대 허위정보 발원지는 바로 미국"이란 입장을 내놨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40대 상사가 팬티만 입고 내 침대에"…귀가한 20대 여직원 경악
- "평생 불륜 70세 부친, 성기능 잃고도 또 바람…망가뜨리고 싶다"
- 김혜수, 한남동 '80억 고급빌라' 매입…전액 현금 매수
- "결혼 생각한 여친 '유부녀' 고백에도 마음 더 커졌다…잘 맞는데 어쩌죠"
- "27년전 나도 11A 앉았다가 살았다"…태국 남성 SNS 글 화제
- 괴한 흉기에 수십번 찔리고도 살았다…"가슴 보형물의 기적"
- 가희 "아빠한테 맞고 피 묻은 이불 빨던 엄마…나도 맞는 게 일상이었다"
- "엄마가 여행 중…다시 바다로 보내주세요" 해변 유리병 속 메시지 '뭉클'
- '박수홍♥' 김다예, 90㎏서 30㎏ 감량 근황…물오른 미모 [N샷]
- "실수에 사과 없이 '몰랐어요'…청소도 대~충" 20대 알바에 사장 한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