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 해체의 여파…전국에 방치된 군 유휴시설 7천곳 넘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군부대들이 잇따라 해체되면서 전국에 방치되고 있는 군 유휴시설이 급증하고 있다.
군당국은 2019∼2021년 유휴시설 9천100개소와 2022년 1천700개소를 철거했으나 기존 시설이 노후화하고 부대 해체가 늘면서, 철거 속도가 유휴시설이 증가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군부대들이 잇따라 해체되면서 전국에 방치되고 있는 군 유휴시설이 급증하고 있다.
4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국방부에서 받은 '유휴 국방·군사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말 3천418개소이던 군 유휴시설은 지난해 말 7천1개소로 늘었다.
면적으로 따지면 축구장 154개(105만430㎡)에 달하는 면적이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유형별로는 정비 및 보급시설이 2천806개소로 가장 많았고 일반 지원시설(2천315개소), 병영 기본시설(1천117개소), 관사 및 간부 숙소(373개소), 기타 시설(197개소), 교육훈련시설(193개소) 등이 뒤를 이었다.
불과 2년 사이 군 유휴시설이 배증한 것은 부대구조가 개편되고 있기 때문이다.
군은 국방개혁 2.0에 따라 상비병력을 2017년 61만8천명에서 2022년 50만명 수준으로 감축하고 육군 군단은 8개에서 6개로, 사단은 39개에서 33개로 축소하는 부대구조 개편을 추진해왔다. 20세 남성인구가 2021년 29만명, 2035년 23만명, 2040년 13만명 순으로 급감하는 인구 절벽이 도래한다는 추계가 고려됐다.
이에 따라 2021년 육군 23사단이, 2022년 6군단·'이기자 부대'로 알려진 27사단·96정비대대가 해체됐으며 올해는 8군단이 해체됐다.
군당국은 2019∼2021년 유휴시설 9천100개소와 2022년 1천700개소를 철거했으나 기존 시설이 노후화하고 부대 해체가 늘면서, 철거 속도가 유휴시설이 증가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유휴시설을 오래 방치하면 범죄와 환경오염 위험이 커져 지역민에게 부담이 되는 만큼 조속한 정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 의원은 "사용 계획이 없는 유휴시설을 집중적으로 철거해 국가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주변 지역민과 상생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 유휴 국방·군사시설 현황 (단위 : 개소,㎡)
※출처=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실·국방부
clap@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K팝·K드라마에 K뷰티, 한식…NYT "韓, 어떻게 문화강국 됐나" | 연합뉴스
- 李대통령 동기 사법연수원 18기 주목…'친명' 인연 관심집중 | 연합뉴스
- 30년전 삼풍 구조대장은 말한다…"얼마나 더 많이 죽어야 하나" | 연합뉴스
- 진우스님 "빵이 목숨보다 중요한 현실…어떤 죽음은 너무 부당" | 연합뉴스
- "조선인 거짓말 잘해" 하멜 이름 유럽 학술상서 뺀다 | 연합뉴스
- [샷!] "볼 때마다 뇌세포 죽는 기분" | 연합뉴스
- '2억 뇌물수수' 경찰, 피의자 필체 흉내내 허위 조서 작성도 | 연합뉴스
- '네탓에 여친과 이별'…개목줄 채우고 쇠파이프 휘두른 20대 실형 | 연합뉴스
- 부산서 불법 투자 리딩방 사기 피해 속출…올해만 219억원 규모 | 연합뉴스
- 하남석 '바람에 실려' 원곡 가수 루 크리스티 별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