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소득 공백 해소” vs 경영계 “임금구조 개편부터”… 정년연장 ‘딜레마’ [심층기획]
연금 수급까지 ‘노후소득’ 사각 불가피
한국노총 ‘은퇴 늦춤’ 청원 5만명 달성
정부, 개편 인식 같지만 방향성은 달라
정년연장보다 현 제도 개편에 무게
경총, 기업 부담에 청년고용 부정 전망
300인 미만 기업 79%는 정년제도 전무
직종 간 근속기간 커 양극화 유발 지적
“사회적 대화 통한 노사정 대타협 필요”
“연공성 높은 임금구조 개편이 선결돼야 정년연장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경영계) 현행 60세인 정년을 개편하는 논의가 총선을 앞둔 노동시장의 주요 의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일하는 노인이 늘어나는 현실을 반영해 정년 연장을 외치는 노동계의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지만, 기존의 정년제도가 여전히 시장에 안착하지 못한 상황에서 자칫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만 고착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년 개편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파급력과 저출산·고령화 정책과의 충돌 가능성 등 논의 과정에서 정부의 셈법도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년 개편이 노사정과 세대 간 의견차가 뚜렷한 사안인 만큼 사회적 대화를 통한 대타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행 60세인 정년은 2013년 법제화를 거쳐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됐다. 제도 시행 7년여 만에 개편을 추진하자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노동시장에서 일하는 노인의 수가 급격히 늘고 있어서다.
3일 고용노동부의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8월 60대 이상 고용보험 신규 가입자는 21만4000명으로 전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정년 이후에도 일하는 노인이 단순 증가하는 것을 넘어 노동시장의 주류가 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 ‘고용동향’에서 지난 8월 60세 이상 취업자는 전년 대비 30만4000명 늘었는데, 15∼29세 청년 취업자는 10만3000명이 감소하며 10개월째 내림세를 보였다. 내년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사상 처음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 같은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대학원 교수는 “현재 노동시장에서 고령기의 소득 공백을 메울 수 있는 해법은 정년연장밖에 없다”며 “한국노총이 제시한 안은 정년을 단계적으로 늦추자는 것으로 조정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정부는 정년제도의 실효성을 지적하며 계속고용 형태의 개편에 무게를 두고 있다. 기존의 정년제도가 시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만큼 노동계의 주장대로 연장하거나 또는 폐지, 재고용하는 형태로 유연화하겠다는 것이다.
정년연장이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엇갈리지만 구직 수요가 몰리는 직종에서는 정년연장에 따른 세대 간 충돌 가능성을 내다보는 의견이 적지 않다.
김종진 일하는시민연구소 소장은 “기업 입장에선 정년연장이 인건비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청년고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 부분에선 기업이 정년을 연장하면서 임금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장치를 두거나, 정부가 고용유지장려금을 확대하는 방안 등을 놓고 노사정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년도 ‘양극화’ 심각
기존의 정년제도가 시장에 안착하지 못한 주된 이유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유노조 기업과 무노조 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양극화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결국 충분한 논의를 통해 사회적 합의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경사노위를 통한 사회적 대화는 중단된 상태다. 정부와 노동계가 저마다의 목소리만 높일 뿐 타협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상황에서 성급한 개편은 자칫 양극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 소장은 “정년 개편은 노사정 간의 대타협이 필요한 사안”이라며 “서로가 일방적 주장만 펼칠 것이 아닌, 정년연장이나 청년고용에 따른 부담을 분담하는 형태의 빅딜이 성사돼야 한다”고 말했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Copyright©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