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올 한 해 편입생만 4만 명… 바닥부터 흔들리는 대학 교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학년도 전국 4년제 대학의 편입학 모집 인원이 3만9635명으로 최근 5년 새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신입생 전체 모집인원(약 35만 명)의 11.4%에 해당하는 수치다.
정시 확대로 인해 재수생에게 밀린 고3 학생들도 한두 등급 낮은 대학에 진학했다가 더 상위권 대학을 가기 위해 재수 행렬에 동참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입학의 증가는 재수를 포함한 N수 열풍에서 비롯된다. 최상위권 성적 학생 중에 자연계나 이공계로 간 경우 의대에 가기 위해 자퇴해 재수를 택한다. 또 2022학년도에 문·이과 통합 수능이 도입된 후 이과생 가운데 명문대 간판을 위해 문과 학과를 택한 학생들도 다시 수능을 치르는 경우가 많다. 정시 확대로 인해 재수생에게 밀린 고3 학생들도 한두 등급 낮은 대학에 진학했다가 더 상위권 대학을 가기 위해 재수 행렬에 동참한다. ‘더 좋은 학벌’을 위한 자퇴-재수가 연쇄 반응처럼 편입을 부르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편입이 과도하게 늘면서 대학교육은 점점 황폐화되고 있다. 편입을 위해선 적어도 1년 이상 준비에 매진해야 한다. 그 기간 동안의 대학 전공교육은 사실상 의미 없게 된다. 또 서울 주요 대학들이 편입 규모를 확대하면서 중하위권 대학이나 지방대에서 결원이 발생하는 도미노 현상이 생겨난다. 편입 충원마저 힘겨운 지방대는 고사 위기에 빠지고 있다.
비정상적인 자퇴나 편입의 고리를 끊어내려면 당장은 문·이과 통합, 정시 확대 등 입시 제도를 재검토하고, 대학에 학생 선발의 자율성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대학을 업그레이드하겠다는 학생이 많은 건 여전히 학벌주의가 우리 사회에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공계 출신 학생이 적성에 안 맞는 철학 수업을 듣고 있고, 상위권 대학 편입시험을 위해 1년을 허송세월하는 현실에서 대학의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의 경쟁력 향상은 꿈꿀 수 없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마포갑·고양…수도권 16곳 표심, 총선 승부 가른다
- [송평인 칼럼]저절로 떨어지는 집값도 못 잡은 정부는 처음
- 김명수, 6년간 소수의견 한번도 안 내… “진보색 뚜렷”
- 美 권력서열 3위 하원의장 사상 첫 해임…매카시 해임안 가결
- [단독]김행 ‘주식파킹 의혹’ 회사, 재인수 시점에 매출-영업익 급감
- 野, 이균용 임명안 부결 방침에… 與, 김행 청문회 보이콧 태세
- 美국채금리 급등…10년물 4.8% 뚫리자 다우 “3월 이후 최악의 날”
- 8월 생산 2.2%·투자 3.6% 증가…소비는 0.3% 줄어 2개월째 감소
- 태국 대파한 류중일호, 내일 운명의 한일전…日, 한 수 아래 中에 ‘덜미’
- 男 400m 계주, 37년만 AG 메달…김국영 “마지막 대회서 첫 메달” 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