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새 도전에 맞서 한미일 3국 협력틀 강화해야[세계의 눈/토머스 허버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일 관계의 이러한 진전을 열렬히 환영했다. 또 과거 미 대통령이 재임 중 외교적 돌파구를 마련한 무대로 활용했던 산속 휴양지 캠프 데이비드에서 이 역사적인 행사를 개최하기로 한 것은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캠프 데이비드에서 외국 정상들을 맞이한 것은 이번이 취임 후 처음이었다.
한미일 3국 정상이 다자 회의를 계기로 만난 적은 있지만 3국 연대를 강조하기 위해 특별히 기획된 별도 회의에서 모인 것 또한 처음이었다. 나무가 우거진 숲을 배경으로 캐주얼한 차림으로 교류하는 세 정상의 모습은 한미일 3국이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친밀한 개인 관계를 쌓아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새로운 한미일 3국 관계의 핵심은 모든 수준에서 한미일 협의를 강화하는 것이다. 캠프 데이비드 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3국 정상은 최소 1년에 한 번씩 만나기로 합의했다. 또 국방에서 경제안보, 기술 협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정례 내각회의를 갖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미국은 이를 통해 3국 협력을 ‘제도화’함으로써 한국과 미국, 일본 중 어느 국가의 정치적 변화로도 협력이 약화되지 않기를 희망하고 있다.
안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는 ‘3자 협의 공약(Commitment to Consult)’이다. 3국 정상은 공동의 안보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역내 도전과 도발 및 위협에 대한 대응을 조율하기 위해 3국 정부가 서로 ‘신속하게’ 협의할 것을 약속했다. 또 3국 정상은 기존 한미·미일 안보 조약을 통해 대북 억지력을 강조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촉구하는 한편 대만과 남중국해 분쟁을 비롯한 역내 다른 긴장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데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3국 연합 군사훈련도 대폭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최근 국제 정세 변화로 3국 협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캠프 데이비드 회의는 시의적절했다. 중국과 북한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속하고 있는 러시아를 지원하는 것은 민주주의 동맹국이 힘을 합쳐야 할 필요성을 분명히 보여준다. 북한은 핵무기 개발과 함께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는 미사일 실험을 지속하면서 국제 시스템을 계속 흔들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 이후 러시아가 다른 국가들의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의 핵 개발을 돕는 대가로 북한으로부터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군이 사용할 탄약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우려스러운 전망도 나오고 있다.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는 동북아 민주주의 동맹국과 파트너들에 독재국가들이 제기하는 새로운 수준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수준의 협력을 촉구하고 있다. 캠프 데이비드에서 출범한 새로운 한미일 협력 프레임워크는 이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민주주의 지도자에게 어려운 정치적 과제가 될 수 있다. 캠프 데이비드에 모인 한미일 정상은 3국 협력을 강화하고 이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후임 지도자가 이어가기를 희망했다. 이제 3국 정상의 바람이 성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토머스 허버드 전 주한 미국대사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野, 이균용 임명안 부결 방침에…與, 김행 청문회 보이콧 태세
- “100경 분의 1초 변화 측정”…노벨물리학상 ‘아토초 연구’ 3인 수상
- 한국 남자바둑 단체전, 중국 꺾고 금메달 확정
- 용산 참모 30명 안팎 출마 의향…대통령실 “총선용 승진 없다”
- 인천공항 보안 총탄에 연이어 뚫렸다…실탄소지 승객 또 적발
- ‘포천 저수지 추락’ 헬기 기장 숨진 채 발견
- LG트윈스, 29년 만에 정규리그 정상 ‘우뚝’
- 女 핸드볼 中 꺾고 결승행… 8번째 금메달 정조준
- JP모건 회장 “7%대 금리 시대 대비하라”…스태그플레이션 경고
- ‘북한’ 호칭에 불쾌하다더니…北, 한국은 ‘괴뢰’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