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지하철에 킹스네이크 등장…"희귀종 키우다 버려"

김소연 2023. 10. 2. 19: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8월에는 서울 강남고속버스터미널과 광진구 빌라 밀집 지역에서 블랙 킹스네이크가 각 1마리씩 발견됐다.

킹스네이크는 설치류와 조류는 물론 다른 뱀까지 잡아먹을 수 있는데, 블랙 킹스네이크는 이름 그대로 온몸이 새까만 게 특징이다.

블랙킹스네이크 외에도 지난해에는 스트라이프 캘리포니아 킹스네이크, 2021년에 턱수염도마뱀과 수단 플레이트 리자드, 2020년 사바나 왕도마뱀 등 희귀종이 매년 출몰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 지난 8월 경기 성남시에서 구조된 사바나 모니터 도마뱀, 강남고속버스터미널 3호선 인근에서 발견된 블랙킹스네이크, 서울 광진구에서 구조된 킹스네이크/사진=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지난 8월에는 서울 강남고속버스터미널과 광진구 빌라 밀집 지역에서 블랙 킹스네이크가 각 1마리씩 발견됐다. 킹스네이크는 설치류와 조류는 물론 다른 뱀까지 잡아먹을 수 있는데, 블랙 킹스네이크는 이름 그대로 온몸이 새까만 게 특징이다. 미국의 남쪽, 멕시코 북쪽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지만, 국내에서는 반려동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같은 달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사바나 왕도마뱀'으로도 불리는 아프리카산 사바나 모니터 도마뱀이 출현했다. 사바나 모니터 도마뱀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으로 분류돼 있지만 역시 반려동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파충류다.

반려동물로 들어온 희귀 동물이 유기되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생태계 교란이나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구조된 동물은 10만1195마리였다. 구조 동물은 2017년 9830마리에서 지난해에는 2만161마리로 불어났다.

구조된 동물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2017년에는 259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317종으로 약 22% 증가했다. 가장 많이 구조된 종은 고라니(1만424마리)였고 이어 멧비둘기(5234마리) 너구리(5006마리) 집비둘기(4826마리) 까치(4116마리) 순이었다.

특히 외래종 발견 사례가 크게 늘었다. 최근 5년간 국내 자연환경에서 처음 확인된 외래종은 20종에 이른다. 곤충 11종, 파충류 4종, 거미류·어류·포유류·복족류·가재류가 각 1종이다. 블랙킹스네이크 외에도 지난해에는 스트라이프 캘리포니아 킹스네이크, 2021년에 턱수염도마뱀과 수단 플레이트 리자드, 2020년 사바나 왕도마뱀 등 희귀종이 매년 출몰하고 있다.

특히 이들 중 상당수가 주거지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발견돼 반려동물로 키우다 유기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임이자 의원은 "희귀종 사육에 대한 호기심이 국내 생태계 위협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불법 유기에 대한 단속 및 제재 강화와 함께 외래종의 생태계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