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소설가] 1년 글쓰기 총량 정해놔 "나는 월급사실주의 작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간 한국인 평균 노동시간보다 긴 2200시간을 1년 글쓰기 총량 목표로 설정한다. 매일 스톱워치로 글 쓴 시간을 재서 엑셀 파일에 기록한다.'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기자 출신 작가로 각종 문학상을 석권하며 문단에 등장했고, 전략적으로 출판사에서 먼저 기획안을 제안하며, 에세이와 논픽션까지 장르를 넘나드는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최근 김의경, 이서수 작가 등과 '월급사실주의 동인'을 꾸리고 소설집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를 냈다. 귀하의>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간 한국인 평균 노동시간보다 긴 2200시간을 1년 글쓰기 총량 목표로 설정한다. 매일 스톱워치로 글 쓴 시간을 재서 엑셀 파일에 기록한다.’
소설가 장강명(사진)은 한국 문단에서 독보적인 존재다. 매년 책을 내는 압도적 생산량뿐만이 아니다. 여타 문인과는 결이 다르다.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기자 출신 작가로 각종 문학상을 석권하며 문단에 등장했고, 전략적으로 출판사에서 먼저 기획안을 제안하며, 에세이와 논픽션까지 장르를 넘나드는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자신을 ‘월급사실주의 작가’로 칭한다. 월급을 받아 생활한 경험이 있고, 이 경험을 토대로 현실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작품에 녹아낸다는 뜻이다. 최근 김의경, 이서수 작가 등과 ‘월급사실주의 동인’을 꾸리고 소설집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를 냈다.
1975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연세대 도시공학과를 졸업한 뒤 신문기자로 일했다. 2011년 장편소설 <표백>으로 제16회 한겨레문학상을 받으며 데뷔했다. 이후 <댓글부대> <재수사> 등을 써냈다. 미문(美文)과는 거리가 있지만 가독성 높은 문장력으로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탈조선’ 신드롬을 담은 소설 <한국이 싫어서>는 영화로도 제작됐다. 이 영화는 2023년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됐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머리 자르는데 6만원·월세 263만원…'미친 물가'에 분노 폭발
- "손님이 실종됐어요"…자영업자들 '곡소리' 나는 까닭 [신현보의 딥데이터]
- 지금이 바닥?…큰손들, 하락장에 폭풍 매수한 종목은
- '코끼리베이글'을 사무실에서…직장인들 흥분시킨 회사
- "세리머니하는 것 보고 그냥 달렸다"…대만 그 선수의 '한마디'
- 부산영화제 앞두고 '응급 수술' 이제훈…허혈성 대장염 뭐길래 [건강!톡]
- 창업자 성추문에…'SMAP' 배출 日 최대 엔터사, 간판 바꿔
- "우리의 여신은 최수영"…5년 만에 찾은 태국도 '환호'
- "용돈으로 K팝 주식에 투자할래요"…초등생 자녀 부모의 고민 [연계소문]
- "역대급 비매너"…북한 축구선수, 日스태프 '주먹 위협'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