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후루 이전엔 '이것' 있었다? K디저트 흥망성쇠[영상]

한소범 입력 2023. 10. 2.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뉴스는 끊임없이 쏟아지고, 이슈는 시시각각 변합니다.

'h알파'는 단편적으로 전달되는 이야기들 사이의 맥락을 짚어주는 한국일보의 영상 콘텐츠입니다.

딸기, 샤인머스캣 등 과일에 설탕 시럽을 발라 굳혀 먹는 디저트로 1020세대에서는 '식후탕'(식사 후 탕후루의 준말) 같은 신조어까지 나올 정도다.

탕후루 이전에도 유행의 중심에 섰다 사라진 디저트들이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휙알파] K디저트 잔혹사
편집자주
뉴스는 끊임없이 쏟아지고, 이슈는 시시각각 변합니다. ‘h알파’는 단편적으로 전달되는 이야기들 사이의 맥락을 짚어주는 한국일보의 영상 콘텐츠입니다. 활자로 된 기사가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때, 한국일보 유튜브에서 ‘h알파’를 꺼내보세요.

중국 전통 간식에서 유래한 '탕후루' 열풍이 뜨겁다. 딸기, 샤인머스캣 등 과일에 설탕 시럽을 발라 굳혀 먹는 디저트로 1020세대에서는 '식후탕'(식사 후 탕후루의 준말) 같은 신조어까지 나올 정도다. 탕후루 이전에도 유행의 중심에 섰다 사라진 디저트들이 있었다. 소프트 아이스크림 위에 벌집 조각을 올린 '벌집 아이스크림'부터 대만에서 들여온 대왕 카스텔라, 각종 흑당 디저트 바람을 불러왔던 '흑당 밀크티', 한때 수도권 판매 점포만 3,100곳이 넘었던 '뚱카롱'까지, 각종 K디저트 잔혹사를 살펴봤다.

한소범 기자 beom@hankookilbo.com
권준오 PD jeunet@hankookilbo.com

Copyright©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