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춘추] 넷 제로와 한국의 도약(4) 웹3.0과 탄소제로
우리는 지금 웹3.0 시대에 살고 있다. 웹1.0이 탄생한 것은 웹사이트(www)를 특허 등록 없이 무료로 제공한 사람 덕분이었다. 세상 아주 먼 곳에 있는 정보도 쉽게 읽을 수 있게 된 배경이다. 친구들과 SNS로 소통하고, 유튜브 동영상도 즐길 수 있게 됐다. 읽기(read)만 가능했던 웹1.0에 비해 읽고 쓰기(read+write)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해진 것을 웹2.0이라고 한다. 하지만 많은 이의 참여로 형성된 콘텐츠를 플랫폼 운영자가 독점하고, 그들이 웹2.0을 통해 아주 큰돈을 버는 것이 모순처럼 느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읽고 쓰는 것에 소유(read+write+own) 기능까지 더해진, 즉 분산된 소유를 가능케 한 블록체인 기술이 등장했고, 이것이 바로 웹3.0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은 내 정보가 중앙 서버가 아니라 세상 모든 것에 저장되는 탈중앙화, 그로 인해 해킹이 불가능한 보안성에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선 자발적 탄소시장(VCM) 활성화로 일반 대중의 탄소발자국 지우기가 쉽게 가능해져야 한다. 그에 필요한 조건들을 바로 블록체인 기술로 '한꺼번에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로 탈중앙화되고, 모든 정보가 국경을 넘어 모든 참여자에게 실시간 공개되기에 투명성이 보장되고, 이중 계산도 불가능해진다. 투명성으로 인해 탄소상쇄권 가격이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되고, 판매자와 구매자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중개자 역할이 대폭 줄어 탄소상쇄권 판매자 수익이 늘어나게 된다. 자연히 탄소상쇄권 형성에 더 많은 투자가 일어나고 VCM 규모는 커지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탄소상쇄권의 토큰화(어떤 속성을 지닌 대상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것)와 조각화(작은 단위로 나누는 것)에 따라 거래 주체가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기존처럼 탄소 다배출 기업만 탄소상쇄권을 사는 식(B2B)이 아니라, 코인 지갑을 지닌 사람은 누구나 다 조각화된 단위의 상쇄권을 살 수 있게 돼 탄소시장 참여(B2C 혹은 C2C)가 확대된다. 결과적으로 VCM은 유동성과 환금성이 매우 높아지면서 대중의 기후위기 극복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많은 선진국들은 블록체인의 장점과 잠재 효과를 충분히 알기에 제도 정비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기후위기 해결을 준비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사건으로 인해 대부분이 '블록체인'이란 용어를 '가상화폐(코인)'와 동일시하고, 문제의 온상으로 취급하고 있다. 기술을 악용한 사람이 문제이지 기술 자체엔 죄가 없다. 기술을 악용한 사람을 처벌해야지 기술 자체를 벌해서는 안 된다.
조선 말기 근대화 기회를 놓쳐 나라까지 잃었던 우리 역사가 있다. 하지만 아날로그-디지털 전환기에 웹1.0을 잘 활용해 극일과 성장의 계기를 만들었던 경험도 우리에게 있다.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과 세계적 기후위기 해결에 공헌하기 위해 웹3.0과 블록체인 기술에 보다 관심을 가져보자.
[박원우 서울대 경영대 교수·GEC 이사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내일은 없다”···집 팔아 돈 펑펑 쓰는 이 나라 국민들 - 매일경제
- 1년치 연봉 날리는 꼴…벌써 10개월째 ‘휴면 보험금’ 미스터리 - 매일경제
- 10억 들고 은퇴하려면?…“30살부터 매달 ○○만원 투자해야” - 매일경제
- 2금융권 8%대 예금금리 1년만에 재등장 - 매일경제
- “1억 생각보다 금방 모읍니다”…. 지금부터 투자할 종목은? [코리아 인사이트] - 매일경제
- 유커 큰손 1000명 우르르 내리더니 …'에루샤'부터 싹쓸이 쇼핑 - 매일경제
- “상속세 폭탄 맞고 파산했어요”…부자들이 한국 뜨는 이유 있었네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왜 남자만 군대 가? 성차별” 위헌소원에…헌재 판단 보니 - 매일경제
- 신유빈·전지희, 남북 대결 승리…한국 탁구 21년 만에 金 - 매일경제
- ‘이란·북한 탈락’ 남자축구 4강 대진표 완성…한국은 우즈베크, 일본은 이변의 주인공 홍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