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군 물리치고 전초기지 지켜낸 한주섭 중령, '10월 호국인물' 선정

김태훈 2023. 10. 1. 11: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25전쟁이 후반부로 접어들던 시기 한 뼘의 땅이라도 더 빼앗기 위해 덤벼드는 중공군을 무찌르고 아군의 전초진지를 지켜낸 한주섭 해병 중령이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가 선정한 이달(10월)의 호국인물로 뽑혔다.

수적으로 우세한 중공군에 맞서 용감히 싸웠지만 37진지를 내주고 말았다.

이후 해병대는 37진지를 되찾기 위해 여러 차례 역습을 퍼부었으나 중공군의 막강한 화력에 밀려 번번이 좌절을 겪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52년 장단·사천강 지구 전투에서 맹활약
을지무공훈장 수훈… 대전현충원에서 영면

6·25전쟁이 후반부로 접어들던 시기 한 뼘의 땅이라도 더 빼앗기 위해 덤벼드는 중공군을 무찌르고 아군의 전초진지를 지켜낸 한주섭 해병 중령이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가 선정한 이달(10월)의 호국인물로 뽑혔다.

전쟁기념사업회가 선정한 10월의 호국인물로 뽑힌 한주섭(1932∼1987) 해병 중령. 전쟁기념관 제공
1일 사업회에 따르면 한 중령은 1932년 2월 1일 서울 용산에서 태어났다. 오늘날 국방부 청사와 전쟁기념관 등이 자리 잡은 곳에서 출생한 점이 눈길을 끈다. 서울공립농업중학교(현 서울시립대) 5학년에 재학하던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학업을 중단하고 해병대 간부후보생(8기)으로 입교했다. 해병대는 전쟁 발발 한 해 전인 1949년 4월 창설됐다. 그는 1951년 7월 1일 해병 소위로 임관한 뒤 해병 제1연대 1대대 3중대 2소대장에 보임됐다.

1952년 3월 해병대는 경기 파주의 장단·사천강 지구에서 중공군 제65군 예하 194사단 및 195사단과 대치하고 있었다. 당시는 정전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이 어느 정도 무르익은 때였다. ‘쌍방 간의 접촉선을 휴전선으로 한다’는 원칙이 이미 정해져 있었던 만큼 남북은 휴전 이전에 한 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중공군은 접촉선을 남쪽으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1952년 10월 2일을 기해 모든 전선에서 추계 1차 공세를 시작했다. 해병대가 방어하던 장단 지구도 중공군의 공격을 받았다. 장단 지구는 개활지와 구릉지대가 대부분이어서 방어가 몹시 어려웠다. 수적으로 우세한 중공군에 맞서 용감히 싸웠지만 37진지를 내주고 말았다. 이후 해병대는 37진지를 되찾기 위해 여러 차례 역습을 퍼부었으나 중공군의 막강한 화력에 밀려 번번이 좌절을 겪었다.

2017년 10월 경기 파주 임진각 일대에서 해병대사령부 주관으로 열린 제65주년 장단·사천강 지구 전투 전승 행사 모습. 연합뉴스
6차 역습 공격을 앞두고 한주섭 소위에게 돌격 소대장 임무가 부여됐다. 한 소위는 모든 소대원의 선두에 서서 중공군의 저항을 물리친 끝에 37진지 탈환에 성공했다. 이를 가만히 보고만 있을 중공군이 아니었다. 곧 1개 대대 규모 병력을 보내 반격을 시도했다. 한 소위와 소대원들은 몰려드는 중공군을 해치우며 37진지를 지켜냈다. 결국 중공군은 37진지를 포기하고 공세를 멈췄다.

이 공훈으로 한 소위는 을지무공훈장을 받았다. 전공을 세운 군인에게 수여하는 무공훈장은 5등급으로 나뉘는데 을지무공훈장은 태극무공훈장에 이어 두 번째 등급에 해당한다.

한 소위는 그 뒤로도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 때까지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제대하지 않고 군에 남아 해병대 발전에 이바지했다. 1973년 중령 계급을 끝으로 전역했으며 1987년 5월 1일 55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고인은 국립대전현충원 장병 1묘역에 안장됐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