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끓는 지구' 시대…차가워진 적도 동태평양

서동균 기자 2023. 9. 30. 20: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구 온난화를 넘어서 유엔의 경고대로 이제는 '끓는 지구'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이로 인한 자연재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일부 지역의 바다 온도는 내려간 걸로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남극에서 시작된 냉각 효과는 저 멀리 적도의 무역풍까지 강화시켜 적도 일부 바다의 수온까지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구 온난화를 넘어서 유엔의 경고대로 이제는 '끓는 지구'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이로 인한 자연재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일부 지역의 바다 온도는 내려간 걸로 나타났습니다.

서동균 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물에 완전히 잠긴 마을.

낙엽처럼 떠내려가는 자동차.

하루 400mm 넘는 폭우가 쏟아진 리비아의 처참한 모습입니다.

뜨거워진 지중해 해수가 강한 열대성 폭풍을 만든 것이 재앙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프리데리케 오코/독일 기후학자 : 기상재해의 빈도나 규모가 크든 작든, 그 안에 '기후 변화'의 신호는 분명합니다.]

하지만, 온난화가 따뜻한 바다만을 만드는 건 아닙니다.

기후예측모델이 지난 40년간 전 지구 해수면 온도를 예측한 자료입니다.

전 세계 수온이 상승했지만, 실제로는 적도 동태평양 지역과 남극해 일부 지역에서는 이렇게 시퍼렇게 수온이 하강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왜 그런지 이유를 분석해봤더니 남극해 주변에서 녹은 빙상과 빙붕 때문이었습니다.

빙상과 빙붕이 녹아 바다에 공급된 담수가 해빙이 됐고, 이 해빙이 햇빛을 잘 반사시키면서 수온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 겁니다.

이렇게 남극에서 시작된 냉각 효과는 저 멀리 적도의 무역풍까지 강화시켜 적도 일부 바다의 수온까지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박원선/부산대 IBS 기후물리연구단 교수 : (과거엔) 빙상 내지는 빙붕이 녹는 효과를 고려하지 못해서 지금의 관측된 현상을 재현하지 못했는데 '(해수) 온도가 하강하는 것 자체도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다'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 지역들의 수온 하강이 인류에 어떤 영향을 줄지에 대해서는 학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기후 변화의 결과가 극단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차가워진 바다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디자인 : 조수인·임찬혁)

서동균 기자 windy@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