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교를 부리지 않는 아름다움”…한국 석조문화재, 일본 박물관의 첫인사 [일본 속 우리문화재]
네즈미술관, “내방객을 맞는 이정표”로 장명등 전시
일본 식 정원 꾸미는 장식물로도 다양하게 활용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일본 소재 한국문화재는 9만5622점(올해 1월 1일 기준)이다. 소장처는 도쿄국립박물관 등 393곳에 이른다. 해외에 있는 한국문화재 전부가 22만9655점(27개국 784곳)이니 일본 비중이 41.64%다. 공식집계가 이렇고, 알려지지 않은 것까지 포함하면 일본의 비중은 더 높아질 것이라는 게 정설이다.
일본 소재 한국문화재는 질적으로도 우수하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찾을 수 없는 것이 적지 않다. 한국에 있는 비슷한 유물보다 뛰어난 것들도 많다.
정원 꾸미는 걸 좋아하는 일본인들에게 한국 석물은 인기가 높았다. 일제강점기에는 선박이 운행할 때 중심을 낮추어 균형을 잡도록 선체 바닥을 석물로 채운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선박평형수 역할을 석물이 했던 것이다.
이 중엔 오쿠라슈코칸의 오층석탑처럼 불법으로 유출한 것이 적지 않다. 일본 소재 한국문화재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유출 형태다. 그래서 일본 박물관의 한국 석조문화재를 보면서 적잖이 당혹스러울 수 있다. 대부분이 묘지, 사찰 등에 있던 것을 자기네들 정원을 꾸미겠다고 가져가 놓고선 자랑하듯 내놓을 때 일말의 죄책감도 없는 건가 싶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모두가 약탈의 결과라고는 할 수 없다. 당시 성업 중이던 골동상 등을 통한 거래도 많았다.
궁금한 것은 유출 형태가 약탈이든, 거래든 일본인들이 이렇게나 가져가 지금도 전시하고 있는 한국 석물의 매력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일본인들은 무엇에 반해 그토록 애호했을까.
똑부러진 답을 찾기가 쉽지 않은 데 정귀문의 책 ‘일본 속 조선민예미’라는 책에 실마리로 삼아볼 만한 대목이 있어 눈길을 끈다. 정귀문은 일본 교토 고려미술관 설립자인 정조문의 형으로 1960~1970년대 일본 내 한국문화재를 발굴하고, 소개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친 인물이다.
그는 이 책에 실은 ‘석인(石人)의 풍경’이란 글에서 교토국립박물관, 도쿄국립박물관, 도쿄도 기온사(祈園寺) 등에서도 정원에 수십 기의 석인이 있는 걸 봤다면서 그것의 아름다움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서술했다.
“그 모든 것이 각각이 다른 환경과 융합하고 있다. 석인은 장소를 따지지 않는 모양이다. 어울리는 장소를 사람이 정한다기 보다는 놓여진 석인이 풍경이나 환경을 만들어내는 것 같다.”
“10기면 10기 모두 풍모가 달라 근엄한 체 하는 것이 있으면, 미소를 머금기도 하며 변화가 풍부하다.…(석인을 만든 장인은) 살아가는 것에 있어 기교부린 흔적이 없는 정신을 (석인의) 서 있는 모습에 깃들게 한 것이다.”
이런 설명은 일본인이 오랫동안 최고의 가치를 부여해 온 고려다완의 특징과도 일맥상통하는 듯 보인다. 일본인들은 특별히 멋부리지 않아 소박하고, 무심해 보이지만 그것에 내포된 조선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고, 우리보다 먼저 큰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한국의 석물에서 보았던 아름다움도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도쿄=강구열 특파원 river910@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