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편 먹으며 보자"…추석 연휴에 볼만한 '인기 웹툰 4총사'

오현주 기자 2023. 9. 28. 08: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기 취준생의 성장기 '백수세끼'…경성의 인어공주 '고래별'
조인성 출연 '무빙' 원작도 관심…AI 심판 다룬 '불공정 게임'
네이버 웹툰 '백수세끼'(네이버 웹툰 제공)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최장 엿새간 추석 연휴는 바삐 달리던 일상에 쉼표를 찍고 이야기에 빠지기 좋은 시기다.

혼자 있어도 웹툰을 정주행하면 시간은 순식간에 흐른다. 선선한 가을 방구석을 달굴 네이버웹툰·카카오 웹툰 작품을 정리해 봤다.

◇장기 취준생 백수의 눈물 나는 성장기…네이버 웹툰 '백수세끼'

취업 안 하는 거 아닌데 몰라주는 사람이 많다. 아무리 노력해도 일이 풀리지 않는데 식사를 잘하면 '밥만 잘 먹는 백수'라는 소리까지 듣는다.

네이버웹툰 '백수세끼'의 주인공 '재호'도 그렇다. 7년간 사귄 여자친구 '수정'과 헤어져도 밥은 잘 들어간다.

'백수세끼'에서 음식의 힘은 상당하다. 밥은 재호와 수정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핵심축이다. 재호는 수정과 함께 먹던 음식을 떠올리며 지난 연애를 되돌아본다.

헤어진 엄마와 재회하는 계기도 마련한다. 재호는 햄버거를 팔다 손님과 싸우면서 우연히 엄마를 만난다. 전환점을 맞은 재호는 다시 취업전선에 뛰어든다.

모든 회차의 제목은 '치킨·피자'처럼 음식이다. 매회 정교한 음식 작화로 식욕을 자극하는 점도 특징이다.

네이버 웹툰 '고래별' (네이버 웹툰 제공)

◇목소리를 잃은 경성의 슬픈 '인어공주'…네이버 웹툰 '고래별' "처음 수아 아가씨를 봤던 날, 제 눈에는 꼭 인어공주인 줄로만 알았습니다."

1926년 일제강점기와 안데르센 동화 '인어공주'를 접목한 웹툰도 있다. 네이버 웹툰 '고래별'이다. 친일파 대지주 딸의 몸종인 '수아'가 총을 맞고 바다로 뛰어든 독립운동가 '의현'을 만나 벌어지는 로맨스 시대극이다.

수아는 총상을 입어 다친 의현을 구해주며 가슴이 뛴다. 하지만 의현이 부탁한 편지를 다른 동료에게 주면서 인어공주처럼 목소리를 잃게 된다. 의현의 동지인 '해수'가 자신들의 말을 엿들었다는 이유로 수아에게 양잿물을 먹였기 때문이다.

수아는 복수를 위해 그들의 은신처인 '고래별'(경성의 우리말)이라는 서양식 카페를 찾는다. 그곳에 의현과 다시 만나 몸종이 아닌 인간으로서 자아를 찾는다.

'고래별'은 시대에 순응했던 인물이 시대에 맞서 직접 삶을 개척하는 점이 인상적이다. 2020년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한국만화가협회가 선정한 '오늘의 우리 만화'로 꼽혔고, 드라마화가 확정됐다.

카카오웹툰 '무빙'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제공)

◇류승룡·조인성·한효주 주연 드라마 원작…카카오 웹툰 '무빙' 배우 류승룡·조인성이 출연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 드라마 '무빙'을 재미있게 봤다면 동명의 웹툰 원작을 추천한다. 강풀 작가가 그린 카카오웹툰 '무빙'이다.

무빙은 남들이 모르는 초능력을 지닌 고등학생과 아픈 비밀을 숨긴 부모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웅물이다. 강풀의 초능력 시리즈 웹툰 '타이밍'과 '어게인'을 잇는 작품이다.

웹툰 '무빙'에는 △공중을 나는 주인공 고등학생 '봉석' △상처를 입지않는 친구 '희수' △엄청난 힘을 자랑하는 '강훈' 등 여러 초능력자가 등장한다.

'무빙'은 단순한 영웅물이 아니다. 한국의 역사적 배경에 아이들과 부모들의 서사를 녹여낸 점이 인상적이다.

카카오웹툰 '불공정 게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제공)

◇국민사형 투표 끝난 뒤 모습은?…인공지능(AI) 심판 다룬 카카오 웹툰 '불공정 게임' 방영 중인 SBS 드라마 '국민사형투표'를 즐겨 본다면 카카오웹툰 '불공정 게임'을 보는 것도 좋다.

원작인 동명 웹툰의 글 작가인 엄세윤 작가의 신작이다. 국민사형투표 사건이 끝난 10년 뒤 인공지능(AI) 재판이 시작된 근미래에서 벌어지는 일을 흥미진진하게 그려냈다.

대통령 공약으로 도입된 첨단 AI 판사 '이브'는 공정하고 엄정한 판결로 엄청난 인기를 얻는다. 하지만 서버에서 갑자기 사라졌고, 1주일 뒤 국민들의 스마트폰에 영상 문자를 보낸다.

이브는 영상에서 "이제부터 매주 한 번씩 우리 사회의 불공정을 박멸하겠다"며 법의 제어를 벗어난 사람들을 심판하겠다고 선언한다.

'불공정 게임'은 이브를 조용히 돕는 조력자들과 찬성·반대 입장을 내는 국민들을 밀도있게 그려냈다.

그림은 △회색 방, 소녀 △동쪽으로 △후궁공략 같은 카카오웹툰 인기작을 그린 봉봉 작가가 맡았다.

woobi12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