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칼럼] 불편한 제의

이상헌 춤비평가·부산시립무용단운영위원 입력 2023. 9. 28. 03: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장애인 관점 편견 버리고 불편을 인정하고 직면해야
장애인 무용가들 활동 활발…차별 없는 사회 향해 전진
이상헌 춤비평가·부산시립무용단운영위원

불편은 편하지 못한 것, 편리하지 아니한 것이나 상태라는 뜻이다. 수많은 이유로 몸과 마음이 편하지 못한 불편은 늘 있다. 인간이 잠시라도 불편에서 벗어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불편이 일상적인 상태에 가깝다는 방증이다. 불편은 내가 느끼지만, 상대가 내 상태를 불편할 것이라고 판단하는 때도 있다. 장애인이 대표적인데, 비장애인은 장애인이 불편할 것이라고 단정한다. 사실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불편을 많이 겪는다. 길에서 장애인을 보기 힘든 이유도 도시 환경이 장애인 혼자 돌아다니기 불편하게 짜여 있어서다.

그런데 장애인은 거리의 턱이나 계단 앞에서 느끼는 불편보다 낮은 장애 감수성이 만든 문제로 인한 불편이 더 크다. 일상에서 장애 비하 단어를 부정적 의미의 비유로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인터넷 방송의 일부 콘텐츠에서는 장애인 비하를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무렇지 않게 사용한다.

대부분의 불편이 타자에서 기인하는 것처럼 장애인의 불편은 비장애인 관점에서 결정한 사회 시스템에서 초래된 것이 대부분이다. 장애인은 심신이 불편한 사람이라기보다 불합리한 상황에 둘러싸인 존재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이런 데도 비장애인은 장애인을 온전히 자기 삶을 살아갈 수 없는 불완전한 존재로 여긴다.

과연 그럴까? 장애인은 질병의 진행 상태에 놓인 환자가 아니다. 장애가 있는 몸은 그 자체로 완결된 몸이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시각장애인이 눈으로 보지 못해 대상을 지각하는 데 불편할 것이라는 생각은 눈으로 보는 것이 정상이라고 믿는 사람의 생각이다. 사람이 세상을 지각할 때 눈만 사용하지 않는다. 시각장애인은 그들만의 지각 방식이 있다. 비장애인은 장애인을 결함이 있는 사람이라 단정하지만, 장애인은 그 상태로 결핍이 없는 존재다. 2022년 아카데미 작품상을 받은 영화 ‘코다’는 청각장애인(농인) 부모와 오빠를 둔 열일곱 살 루비의 성장기이다. 코다는 농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청인 자녀를 뜻한다. 코다인 루비는 농인 언어인 수어와 청인의 음성언어도 사용할 수 있어 농사회와 청사회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가족은 소통에 불편이 없으며, 그 자체로 충분한 가족이다. 루비 가족의 갈등은 장애인 가정이든 비장애인 가정이든 구분 없이 겪을 법한 부모, 자식 세대의 갈등으로 볼 수 있다. 불편은 루비 가족이 완전한 구성을 갖추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 관객의 몫이다.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은 다양한 감각과 사고로 세상을 파악한다. 그들이 인지하는 세상은 비장애인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완결되어 있으며, 어쩌면 훨씬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무용계에 장애인 무용가의 활동이 활발하다. 춤과는 아예 거리가 멀다고 치부했던 장애인이 국내와 외국에서 무용 공연을 한다는 소식이 심심찮게 들려온다. 국내 대학 무용과에서 장애인을 받아주지 않는 데도 장애인 무용가의 수는 늘고 있다. 춤으로 무대에 서는 데 대학이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장애인이 춤 공연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가 할 수 있는 동작을 찾아내고 그것으로 의미와 맥락을 만들어서 연습하면 그만이다. 장애인 무용가가 무대에 서면서 기존 무용의 틀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장애가 있는 몸은 기존 안무 방식으로 감당하기 어렵다. 기존 안무는 통제 가능한 움직임을 추구하지만, 장애인의 몸은 통제하고 규격화하기 어려운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장애인은 무대에서 춤추면서 장애를 감추거나 비장애인의 움직임을 따라 하지 않는다. 오히려 장애를 드러내어 장애를 가진 몸의 완결성을 보여준다. 장애는 치료와 극복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단지 다른 상태이며, 결함이 있는 존재로 장애인을 보는 인식은 설득력이 없다. 또한 예술로서 무용은 여태까지 확신했던 범주를 재검토할 명분과 계기를 얻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장애인 무용가는 낯선 시선에 자기 몸을 드러내야 하는 불편을 견뎌야 했고, 무용은 지금까지 스스로 부여한 춤 출 수 있도록 훈련된 몸이라는 배타적 특권을 일정 부분 포기하는 불편을 무릅써야 했다. 그 결과 양쪽 모두 자기 세계를 확산하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삶에서 불편을 피할 수 없다면, 때로는 긍정적 에너지로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불편을 인정하고 직면할 때 우리는 불편의 원인을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장애인 무용가의 춤은 불편에 직면해서 맞서는 대표적인 행위다. 무대에서 장애를 드러내어 타자의 불편한 시선에 몸을 내던지는 일은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삼는 편견과 그것을 빌미로 장애인에게 씌운 열등감에서 벗어나 완결된 존재로 거듭나는 하나의 제의이다. 이 불편한 제의는 장애인만이 아니라 사회가 불편한 존재라고 각인한 모든 이가 함께해야 할 의식이다. 쇠를 쇠로 깨뜨리듯 편견이 덧씌운 불편한 굴레는 불편한 제의로 깨뜨릴 수밖에 없다.

Copyright©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