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칼럼함께하는세상] 이민자에게 정을 나누는 추석이 되길

입력 2023. 9. 27. 22:36 수정 2023. 10. 4. 05: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름달은 매달 떠올라 일 년이면 열두 번 우리 곁으로 온다.

음력 8월 가을 밤하늘의 달이 매일매일 그 살을 채우고 있다.

우리나라 한가위와 그 의미가 가장 비슷한 것은 아마도 미국의 '추수 감사제'(11월 넷째주 목요일)일 것이다.

올해 한가위는 나 자신만의 행복보다는 우리 주위에 있는 어려운 이웃 특히, 이민자에게 따뜻한 눈길, 포근한 손길, 마음의 정을 나누는 추석이 되길 기대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름달은 매달 떠올라 일 년이면 열두 번 우리 곁으로 온다. 음력 8월 가을 밤하늘의 달이 매일매일 그 살을 채우고 있다. 달이 가득 채워지는 9월29일은 바로 ‘한가위’다. 추석은 일 년 농사를 무사히 마치고 조상에게 감사의 차례를 올리는 전통 민족 큰 명절이다. 고향에 부모님을 뵈러 먼 길을 떠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으며, 친지와 함께 음식을 나누며 이야기꽃을 피우는 민족 소통의 날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행복한 날, 외로운 이들도 있다. 태어난 곳을 떠나 이역만리에서 터를 잡고 살아가는 우리의 이웃 이민자들이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우리의 한가위와 같은 명절들이 있다. 가장 많은 결혼이민자가 이주해서 ‘사돈의 나라’가 된 베트남의 경우, ‘뗏 쭝투’(음력 정월 초하루)라는 날이 있다. 이날에는 민족 대이동이 일어나며, 온 가족이 모여 달구경을 한다. 사자춤이나 연등 행렬 등 거리공연을 즐기며 쌀과 돼지고기, 콩 등을 넣고 쪄낸 전통 떡인 ‘반 쭝투’를 만들어 먹는다.
가까운 나라 일본에는 오봉절(양력 8월15일)이 있다. 집으로 돌아오는 조상들의 영혼을 대접하고 행복을 기원하는 일본 고유 명절이다. 이날 전후로 가족과 함께 ‘오봉야스미’(お盆休み)라는 연휴를 즐기며, 달 모양의 떡 당고(?子)를 만들어 먹는다. 연휴 마지막 날 저녁에는 등불로 장식한 무대 주위에서 다 함께 춤을 추며, 즐거운 시간을 갖는 전통이 있다.
서광석 인하대 교수·이민다문화정책학
우리나라 한가위와 그 의미가 가장 비슷한 것은 아마도 미국의 ‘추수 감사제’(11월 넷째주 목요일)일 것이다. 신대륙으로 이주한 이민자가 어렵게 정착하는 과정에서 1620년 가을 첫 수확을 감사하는 의미에서 시작된 잔치로, 칠면조 요리는 추수감사절 대표 음식이다.

국내에는 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유학생 등 다양한 이민자들이 약 250만명가량 거주하고 있다. 단일민족국가임을 자처하던 우리나라도 이제는 다문화, 다민족 사회가 됐다.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전국 곳곳에서 이들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이민자를 위한 위로잔치, 송편 등 추석 음식 만들기 행사, 모범 다문화가정 탐방 및 모국방문 행사지원 등 국내 체류 이민자를 위한 다양한 행사가 마련됐다. 우리 사회가 이민자를 포용하고 열린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는 가족애를 느낀다.

그러나 이들을 대하는 우리의 인식과 자세는 아직 부끄러운 수준이다. 홀대와 편견이 여전히 사회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사회구성원 모두 소통을 통해 이해와 관용을 베풀고, 짐을 나누어 지는 사회를 만들면 명절을 외롭고 슬프게 보내는 소외된 이웃은 줄어들 것이다. 올해 한가위는 나 자신만의 행복보다는 우리 주위에 있는 어려운 이웃 특히, 이민자에게 따뜻한 눈길, 포근한 손길, 마음의 정을 나누는 추석이 되길 기대한다.

서광석 인하대 교수·이민다문화정책학

Copyright©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