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시세] "한국 여행이 소원이에요"… 몽골 내 한류가 심상찮다
[편집자주][편집자주]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시각이 남다른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세대). 그들이 바라보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머니S는 Z세대 기자들이 직접 발로 뛰며 그들의 시각으로 취재한 기사로 꾸미는 코너 'Z세대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Z시세)을 마련했습니다.
"유튜브 '피식대학'도 즐겨 봐요. 폼 미쳐따이~"
몽골인 엥흐치멕씨는 한국 예능과 드라마에 푹 빠졌다. 유독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외국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몽골에선 그리 특별한 일이 아니다. BTS와 '오징어게임'을 비롯한 K-콘텐츠가 국제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몽골의 한류 사랑은 어느 나라보다 각별하다.
지난달 25~27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도심 한가운데서 한국 문화를 알리는 행사인 '코리안 위크'가 열렸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코리안 위크는 몽골의 주요 축제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전라북도 한마당 공연팀, 국기원 태권도 시범단 등 100여개의 기관이 참여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 만큼 현지 몽골인의 호응도 매우 뜨거웠다.
행사 스태프로 참여한 엥흐치멕씨는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다"며 "예상보다 방문객이 훨씬 많이 찾아와서 힘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많은 사람이 모인 탓에 화장실 갈 시간도 없이 일했다며 혀를 내둘렀다.
박민서 주몽골 한국대사관 직원은 "이번 행사를 통해 몽골인이 한국 문화에 관심이 상당함을 실감했다"고 전했다.
━
지난 2017년에는 K-팝을 좋아하는 몽골 청년들이 의기투합해 K-팝 엔터테인먼트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이들은 몽골에서 K-팝 플래시 몹, K-팝 페스티벌 등 여러 행사를 주도적으로 개최했다.
내년을 '몽골 방문의 해'로 정한 몽골 정부는 K-팝 스타들을 광고모델로 내세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세계적인 K-팝 페스티벌 주최를 목표로 한류스타를 몽골에 대거 초청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해외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홍보라는 점을 감안해도 몽골 내 한류의 인기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국 드라마 역시 몽골 내 한류를 가속화하는 요인이다. 지난 2017년 기준 몽골 TV에 방영되는 드라마의 국가별 비중을 보면 한국 드라마가 32.1%로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미국의 2배 가까운 수치다. 지난 2016년 시청률 상위 10개 드라마에 한국 드라마인 '천상여자'(1위)와 '너를 사랑한 시간'(2위)이 상위권에 포진했으며 3위를 제외한 4~10위가 모두 한국 드라마였다.
이처럼 몽골에서 한류는 가장 대중적인 문화로 자리잡았으며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20대 사이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엑소 노래를 계기로 한국 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진 몽골인 첼문씨는 "'BTS가 한국 경제에 끼친 영향'을 주제로 졸업 논문을 작성했다"며 남다른 한국 사랑을 과시했다.
그는 이어 "주위에도 한국 문화를 좋아해 한국어를 전공하거나 한국 유학을 꿈꾸는 친구가 많다"고 덧붙였다. 첼문씨는 몽골 국립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진학해 현재는 성균관대학교에서 영상학을 공부하고 있다. 실제로 몽골에선 한류에 빠져 한국어학을 전공하는 20대 여성을 흔치 않게 마주할 수 있다.
국제 울란바토르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졸업한 엥흐치멕씨 역시 K-팝을 계기로 한국에 관심을 가져 한국어를 전공한 사례다. 그는 현재 현지에서 한·몽 통역사로 일하며 양국 간 문화 교두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는 "(몽골) 젊은 세대는 K-팝을 통해 한국에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고 대부분이 한국에서 공부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021년 몽골에서 한국어능력시험 TOPIK(토픽) 응시자가 1만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다.
엥흐치멕씨는 "K-팝뿐 아니라 한국 드라마 인기도 상당하다"며 "드라마에 나온 한식이 많은 관심을 끌어 한식당도 엄청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
이마트 4호점은 식품 판매대에 김밥·떡볶이 등 한국 음식을, 생필품 판매대엔 자체 브랜드인 노브랜드 등을 배치하며 한국 제품을 전면에 내세웠다. 몽골 내 노브랜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상승했고 이마트 내 한국 제품 매출도 14% 늘었다. 감자칩부터 물티슈까지 다양한 제품이 현지에서 인기를 끌자 신세계그룹은 5호점도 잇달아 개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내 편의점 업계도 몽골 현지에 가맹점을 꾸준히 개설하면서 시장 확장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 2018년 몽골에 진출한 편의점 CU는 올초 300호점을 돌파했으며 지난달 말 336호점을 개장했다. GS25 역시 지난달 말 기준 231개의 점포를 개장하며 몽골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몽골 울란바토르의 길거리를 걷다 보면 한 블록당 1개꼴로 한국 편의점이 자리잡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의 성공 원인으로 몽골 내 높은 한류 인기를 꼽았다.
을지바트 교수는 한국 기업의 경영 전략이 몽골인들의 니즈와 일치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마트의 경우 직원들의 친절한 태도와 좋은 제품 품질이 몽골인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며 "이런 한국 기업의 높은 서비스 품질은 몽골인이 경험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몽골에 진출한 한국 편의점의 경우 쾌적한 공간과 매장 내 화장실이 도시의 미흡한 공공시설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한국과 달리 몽골에서 편의점은 지인을 만나거나 간단한 업무를 보는 카페에 가깝다.
최재혁 기자 choijaehyeok@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마 집 27억에 사고 엄마는 11억 전세계약" 모녀간 수상한 직거래 - 머니S
- 송중기 오작교였나… 안혜경 남편, ○○○? - 머니S
- [단독] 한우 맛집 된 편의점, '등심 100g' GS25 9900원 vs 대형마트 1만4080원 - 머니S
- "노산이었다"… 홍지민, 쌍둥이 유산 고백 - 머니S
- "브루노 마스 티켓 왜 받아?"… 풍자, 연예인 특혜 '저격' - 머니S
- 페트병 사건 학부모, 400만원 받았지만 "치료비 요구한 적 없다" - 머니S
- 한소희, 입술 피어싱+팔목엔 장미 타투… "나의 해방일지" - 머니S
- 고2 월 평균 26만원 긁는다… 이젠 '엄카' 말고 내 체크카드로 - 머니S
- '1189만원' 발렌티노 컬렉션 선보인 임수정… "미모 여전" - 머니S
- 홍진경 김치 실제 매출액은… "연 평균 180억원"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