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이곳만은 꼭 지키자-공릉천 하구와 좌우 농경지/탐조인·수의사

입력 2023. 9. 27.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에서 보기 어려운 흰배뜸부기가 공릉천 하구 인근에서 발견됐다고 했다.

한국의 3대 탐조 명소라면 나는 천수만 일대의 농경지, 시화호·화성호 일대의 농경지와 습지, 그리고 공릉천 하구 일대의 농경지와 습지를 들겠다.

그중에서도 여차하면 자전거로 달려갈 수 있는 공릉천 하구 일대가 나에게는 가장 정이 가는 곳이다.

올해는 공릉천 하구와 주변이 내셔널트러스트라는 단체에서 지정하는 '이곳만은 꼭 지키자'에 선정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3. 9. 공릉천 하구 인근 농경지에서 만난 흰배뜸부기.

한국에서 보기 어려운 흰배뜸부기가 공릉천 하구 인근에서 발견됐다고 했다. 아직 뜨거운 날씨였지만 자전거를 타고 내달렸다. 햇살이 내리쬐는 농로에서 논두렁을 바라보다 결국 배가 하얀 그 녀석을 만났다. 입이 헤벌쭉 벌어졌다.

늘 갈 때보다 돌아올 때가 훨씬 힘들지만 공릉천 하구 둑방의 나무가 사라지고 시멘트가 깔린 뒤로는 더 심하다. 몇 년 전 자전거도로 끝의 자연보호구역 흙길을 달리며 저어새를 만날 때는 지금보다 힘들지 않았다. 길은 더 울퉁불퉁했지만 나무 그늘도 있었다. 새소리도 더 많이 들렸다. 갈대밭의 야생동물을 상상하면 울퉁불퉁한 길도 그저 재미있었다.

그런데 그 자연보호구역이 무색해졌다. 개천가 나무를 베고 길을 편평하게 만들더니 시멘트 포장을 하기 시작했다. 주변 논도 몇 개 메웠다. 그러고는 둑방 아래로 폭이 2m가 넘고 깊이가 3m쯤 되는 거대한 콘트리트 구조물도 만들었는데 농사에 쓸 물을 담고 옮길 목적이 아니니 농수로라고 할 수 없다. 거기 떨어지면 살지 못한다. 고라니도, 개구리도, 사람도. 그저 생명 살상용 함정이다. 매번 새를 보러 가면서 날로 황량해지는 공릉천 하구의 풍경을 보면 서글퍼진다. 거대한 살상용 함정을 볼 때마다 화가 치민다.

주인 탐조인·수의사

한국의 3대 탐조 명소라면 나는 천수만 일대의 농경지, 시화호·화성호 일대의 농경지와 습지, 그리고 공릉천 하구 일대의 농경지와 습지를 들겠다. 그중에서도 여차하면 자전거로 달려갈 수 있는 공릉천 하구 일대가 나에게는 가장 정이 가는 곳이다.

올해는 공릉천 하구와 주변이 내셔널트러스트라는 단체에서 지정하는 ‘이곳만은 꼭 지키자’에 선정됐다. 다행이다. 그러나 다행이라는 말로는 다할 수 없는 서글픔이 밀려온다. 사라질 위험에 처한 자연유산이나 문화유산에 대해 지정하는 것이라 위험하다는 뜻이니까. 내 보물, 나의 공릉천이.

며칠 뒤 새 벗들과 공릉천 하구에 또 갔다. 논두렁 여기저기를 기웃거리다가 이번에는 한국뜸부기를 봤다. 이름은 한국뜸부기지만 한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새가 아니다. 국제적으로도 준위협종으로 지정된, 수가 줄고 있는 새다. 그런 새를 아직 공릉천 인근 농경지에서 볼 수 있다. 꼭 지켜야겠다.

Copyright©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