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포함 포유류 ‘멸종 반환점’ 돌았다"… 지구 지배종 파충류로 바뀌나

전혼잎 2023. 9. 26. 1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류를 포함한 '포유류'의 시대가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

공룡 등 파충류의 전성시대를 지나 지구 생명체의 대표 격이 된 포유류의 생존 가능 기간이 2억5,000만 년가량 남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이다.

영국 브리스톨대 알렉산더 판스워스 연구팀은 25일(현지시간)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과학'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대륙의 생성 원리인 판구조론과 온난화 등을 고려한 모형화 실험 결과, '판게아 울티마'가 2억5,000만 년 후 찾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 과학저널 논문
2억5000만 년 후 '판게아 울티마' 가능성
"기온 40~70도… 포유류 생존 어려울 듯"
영국 브리스톨대 알렉산더 판스워스 연구팀이 25일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과학'에 발표한 사막화된 초대륙의 지표면 온도. 대부분의 지역이 섭씨 40도를 넘어섰다. 네이처 제공

인류를 포함한 ‘포유류’의 시대가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 공룡 등 파충류의 전성시대를 지나 지구 생명체의 대표 격이 된 포유류의 생존 가능 기간이 2억5,000만 년가량 남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것이다. 머나먼 미래의 얘기이긴 하다. 하지만 약 2억5,000만 년 전쯤 처음 등장한 것으로 추정되는 포유류의 역사가 이제 반환점을 맞았다는 걸 시사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영국 브리스톨대 알렉산더 판스워스 연구팀은 25일(현지시간)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과학’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대륙의 생성 원리인 판구조론과 온난화 등을 고려한 모형화 실험 결과, ‘판게아 울티마’가 2억5,000만 년 후 찾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판게아 울티마는 본래 하나였다가 갈라진 각각의 대륙이 다시 하나로 합쳐지는 초대륙 현상을 뜻하는 용어다.

연구팀은 판게아 울티마 시기의 지구가 섭씨 40~70도의 불모지가 될 수 있다고 봤다. 화산 활동과 이산화탄소 급증, 지구와 가까워진 태양의 복사에너지 증가 등이 원인이다. 포유류가 살아남기엔 지나치게 높은 기온 탓에 결국 ‘대량 멸종’을 피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 결론이다. 북극과 남극 변두리의 8% 정도 피난처에서 생존을 이어갈 순 있겠으나, 공룡 멸종 후 6,500만 년간 누려 왔던 지배종의 지위는 누리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판스워스 교수는 “포유류가 더위를 견딜 수 있는 냉혈 파충류로 대체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포유류는 매서운 추위를 겪으며 털이나 동면 등을 통해 더 낮은 온도에서도 살아남도록 진화해 왔지만, 고온 한계 상황은 겪어 보지 못한 만큼 극한 더위엔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북극곰이 사람을 공격하는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를 지목한다. 이상고온 현상으로 북극곰의 사냥터가 줄어들어서 사냥을 제대로 못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지구가 76억 년 후 태양에 삼켜져 사라진다는 연구는 이미 나온 바 있다. 그러나 판스워스 연구팀은 1억1,000만 년마다 태양 에너지가 1%씩 증가하고, 이에 더해 초대륙 현상이 이런 온난화를 더 악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육지는 바다보다 빠른 속도로 달아오르는 만큼, 초대륙은 지구 온도를 치솟게 하는 일종의 프라이팬 역할을 할 수 있다. 심지어 이번 연구 결과는 인류가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기 때문에 해당 시점은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

다만, 판게아 울티마가 열대지방이 아닌 북극에서 나타날 경우 인류의 생존은 연장될 수 있다. 판스워스 교수는 “인류가 만약 2억5,000만 년 후에도 존재한다면 공상과학 소설처럼 환경에 적응할 방법을 찾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전혼잎 기자 hoihoi@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