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중장년 순자산 격차 더 벌어졌다···원인은 '부동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청년층과 중장년층 간의 순자산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통계플러스 가을호'의 청년부채 증가의 원인과 정책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39세 이하 청년층과 40세 이상 중장년층의 순자산 보유액 차이는 2019년 1억6천만원에서 지난해 2억3천만원으로 격차가 3년 만에 45% 확대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청년층과 중장년층 간의 순자산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통계플러스 가을호'의 청년부채 증가의 원인과 정책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39세 이하 청년층과 40세 이상 중장년층의 순자산 보유액 차이는 2019년 1억6천만원에서 지난해 2억3천만원으로 격차가 3년 만에 45% 확대됐다.
청년층의 순자산이 같은 기간 2억2천만원에서 2억6천만원으로 4천만원이 증가했지만 중장년층은 3억8천만원에서 4억9천만원으로 1억 1천만원 늘어났다.
이번 보고서를 발표한 김미루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 같은 배경을 코로나19 이후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꼽았다.
주택 매매 및 임대 가격이 상승한 결과 주택보유 비율이 낮고 임차 비율이 높은 청년층은 부채가 늘어난 반면, 부동산 자산 비중이 높은 중장년층의 경우 자산이 가파르게 늘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청년층의 부채 중 전월세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 비율은 20.4%였으나, 지난해에는 그 비율이 30.0%까지 올랐다.
청년층의 부채는 같은 기간 8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었다. 중장년층은 전월세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 비율이 같은 기간 6.2%에서 5.6%로 수준이었다.
반면 부동산구입을 위한 대출 비율은 2010년 57.4%에서 지난해 67.5%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중장년층의 부동산 자산은 3억3천만원에서 4억4천만원으로 늘었다.
김 연구위원은 이러한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의 소비가 더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소비 감소는 청년층 내에서도 부채의 정도에 따라 달라졌다. 부채보유 상위 50%에 해당하는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기준금리 1%p 인상으로 26만4천원(1.1%) 감소하는 반면, 부채가 없는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2만4천원(0.1%) 감소하는 데 그쳤다.
여기에 소득 수준이 낮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취약 청년 차주일수록 소비 감소가 두드러졌다.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부채 상위 50% 청년 가구 중 저소득층의 연간 소비 감소 폭은 27만9천원(1.2%)에 달했지만, 고소득층은 9만2천원(0.3%)에 그쳤다.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중 신용점수가 700점 이하인 저신용층의 경우 연간 소비는 59만9천원(2.2%) 줄어 감소 폭이 컸다.
김 연구위원은 "금리 인상기에는 중장년층에 비해 청년층의 후생이 큰 폭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며 "청년층의 신용이 추락하고 이로 인해 향후 제반 경제 활동에 제약이 생긴다면 이는 우리 사회 전체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