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서 뒤늦게 부는 ‘마이데이터’ 열풍… 고비용에 성과 ‘글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보험 등 2금융권에도 시중은행과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등을 중심으로 제공되던 본인신용관리업(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이용 고객은 지난 18일부터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마이데이터 사업은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모아 재무 현황·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맞춤형 금융상품 등을 추천하는 자산·신용관리 서비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회 통해 저축은행도 마이데이터 진출
보험업계도 활발…농협·미래에셋생명 준비
“고객 편의 위해선 필요하지만 실익은 아직”
저축은행·보험 등 2금융권에도 시중은행과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등을 중심으로 제공되던 본인신용관리업(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중·저신용자에 특화한 마이데이터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기 위해서다. 다만 일각에선 사업 진행에 비용이 많이 들고, 아직 뚜렷한 실적이 없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이용 고객은 지난 18일부터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저축은행중앙회 애플리케이션(앱) ‘SB톡톡+’와 저축은행 자체 앱을 통해서다. 신용평가기관인 NICE평가정보와 코리아크레딧뷰로를 포함해 자영업자 전문 서비스 기관인 한국신용데이터와 웰컴저축은행이 사업자로 선정됐다.
마이데이터 사업은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모아 재무 현황·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맞춤형 금융상품 등을 추천하는 자산·신용관리 서비스다. 금융 마이데이터는 2020년 8월 신용정보법 개정으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본격적으론 지난해 1월부터 시작됐다. 그동안은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시중은행을 비롯한 1금융권과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 등 핀테크가 이 시장을 주도해 왔다.
저축은행중앙회가 뒤늦게라도 사업을 시행한 배경은 주 고객인 중저신용자 및 서민이 디지털 금융으로부터 소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구축하려면 별도의 조직 구축, 보안 강화, 마케팅 추가 등 수백억원 가량의 비용이 든다”면서 “저축은행은 중소형업체가 대부분이라 현실적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이 때문에 중앙회가 나서 제휴를 맺게 됐다”고 말했다.
보험업계도 잇달아 마이데이터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지난해 2월 교보생명을 시작으로 4월 KB손해보험이 생명·손해보험업계에서 각각 첫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내놨다. 이어 올해 1월엔 신한라이프가 세 번째로 마이데이터 서비스 선점에 뛰어들었다. 최근엔 NH농협생명이 금융위원회에 신청서를 제출한 지 약 2년 5개월 만에 예비인가를 획득했다. 미래에셋생명도 지난해 9월 본허가 신청 후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엔 금융소비자가 직접 행정·공공기관을 방문하지 않아도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보험 가입, 보험금 지급 등 보험서비스에 필요한 서류를 간편하게 제출할 수 있게 된다.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에 흩어져 있는 본인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받거나 제3자에게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서비스다. 보험업계는 소비자 편의성 제고 및 보험사 업무 효율화를 위해 보험 분야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 도입을 추진해 왔다.
다만 일각에선 마이데이터 서비스로 얻을 실익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아직 관련 서비스가 크게 활성화되거나,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단계는 아니기 때문이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주요 보험사 최고경영자(CEO)들의 마이데이터 사업에 대한 관심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 관심도는 지난 2021년 14.1%, 지난해 11.5%, 올해 8.6%로 하락세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객 편의성과 금융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선 마이데이터 사업 확대는 불가피하다”면서도 “보안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고, 관련 규제가 촘촘히 얽혀있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세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李 ‘대권가도’ 최대 위기… 434억 반환시 黨도 존립 기로
- 정부효율부 구인 나선 머스크 “주 80시간 근무에 무보수, 초고지능이어야”
- TSMC, 美 공장 ‘미국인 차별’로 고소 당해… 가동 전부터 파열음
- [절세의神] 판례 바뀌어 ‘경정청구’했더니… 양도세 1.6억 돌려받았다
- 무비자에 급 높인 주한대사, 정상회담까지… 한국에 공들이는 中, 속내는
- 금투세 폐지시킨 개미들... “이번엔 민주당 지지해야겠다”는 이유는
- 5년 전 알테오젠이 맺은 계약 가치 알아봤다면… 지금 증권가는 바이오 공부 삼매경
- 반도체 업계, 트럼프 재집권에 中 ‘엑소더스’ 가속… 베트남에는 투자 러시
- [단독] 中企 수수료 더 받아 시정명령… 불복한 홈앤쇼핑, 과기부에 행정訴 패소
- 고려아연이 꺼낸 ‘소수주주 과반결의제’, 영풍·MBK 견제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