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글로벌 해상풍력 보급량 역대 2위…中 '그리드 패리티' 달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전 세계 해상풍력 보급량이 역대 두 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세계 해상풍력 확대 경쟁에서 뒤처지기 전에 생태계 활성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GWEC는 해상풍력발전을 대규모로 보급하는 중국이 이미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화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원가가 같아지는 시점)'를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정부에서 2030년까지 해상풍력을 1만2000㎿ 보급하겠다고 밝힌 것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해상풍력 보급량이 역대 두 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2021년의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보급량은 떨어졌지만 신규 보급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해상풍력 보급은 답보 상태다. 우리나라가 세계 해상풍력 확대 경쟁에서 뒤처지기 전에 생태계 활성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해상풍력 설치량은 8771㎿다. 이는 연간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설치량이다. 다만 이례적으로 해상풍력 설치량이 많았던 2021년 2만1106㎿와 비교해서는 58.4% 감소했지만 신규 보급은 꾸준히 이어지는 추세다.
GWEC는 중국과 유럽, 대만이 최근 해상풍력 설치 확대세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해 중국의 해상풍력 설치 비율은 57.6%로 절반을 넘었다. 이어 영국(13.4%), 대만(13.4%), 프랑스(5.5%), 네덜란드(4.2%), 독일(3.9%), 노르웨이(2%) 순으로 해상풍력을 많이 보급했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과 달리 입지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거세고 일정한 바닷바람의 영향으로 발전량도 우수하다. 풍력발전기를 설계·설치·운영하는 비용과 함께 전력망에 대한 투자비용이 많은 것은 단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대규모 단지가 구축될수록 발전단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GWEC는 해상풍력발전을 대규모로 보급하는 중국이 이미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화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원가가 같아지는 시점)'를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보조금 없이도 화력발전과 동일한 발전원가를 확보했다는 의미다. 중국의 풍력 부품기업도 자국의 시장을 뒤엎고 발전단가뿐만 아니라 품질 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해상풍력이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풍력업계에 따르면 이달 기준 국내에 설치된 해상풍력은 누적 114.5㎿다. 지난 정부에서 2030년까지 해상풍력을 1만2000㎿ 보급하겠다고 밝힌 것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윤석열 정부 또한 재생에너지에서 풍력발전 비중을 높일 계획이지만 보급은 지지부진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모두 갖춘 중국 업체들이 우리나라 시장을 노리고 있다. 정부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풍력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은 자국 내 보조금 정책을 폐지했고, 중국 업체들은 인근의 한국 시장을 노리고 있다”면서 “이미 국내에서도 중국산이니까 배척할 것이 아니라 중국산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하는 기업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은 법적으로 중국산을 막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는 아직 대응이 없다”고 지적했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韓 디지털 인프라… OECD 선두 입증
- 칼부림부터 학교폭력 대응까지…다재다능한 지능형 CCTV 주목
- 이통사 '폐쇄형 커머스' 본궤도…빅데이터·AI로 맞춤 판매
- [단독] 수자원공사 해외투자 난관…'원금 회수' 적신호
- 산업부, '무역·기술 안보 종합전략' 세운다…연내 포럼 구성
- '100경분의 1초' 빛으로 '전자의 세계' 연 과학자들 노벨 물리학상 수상
- 정부, 디플정 마중물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 착수
- [에듀플러스]“특성화고, 신산업·신기술 분야에 맞춘 학과 개편 활발…지난 7년간 372개교 902개
- [에듀플러스]특성화고가 진화한다 “기업 협약형 특성화고 설립하고 서울형 마이스터고 전환…
- 일본·프랑스 넘어 UAE·네덜란드까지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