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이상 이자도 못 번 기업 903곳…지난해 한계기업 비중 15.5%로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리가 오르고 경기가 악화되면서, 지난해 영업 이익으로 이자 내기도 벅찬 한계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이에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손실 보전을 위해 차입금을 늘리며 이자상환 부담이 증가하면서 유동성이나 상환능력,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자산규모나 산업에 따라 건전성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면서 "부실기업 구조조정 및 취약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정책 시 개별기업의 재무건전성과 자산규모, 산업 특성을 함께 검토해 회생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고 경기가 악화되면서, 지난해 영업 이익으로 이자 내기도 벅찬 한계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업대출이 사상 최대로 늘어난 상황에서 고금리마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출 부실 등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26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상황’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을 하회하는 한계기업 비중은 15.5%로 드러났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수치다. 한 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이 금융비용보다 적어 1을 밑도는 상태가 3년 간 지속된 기업을 한계 기업으로 분류한다.
한은이 외감기업 2만5135개(대기업 5061개, 중소기업 2만74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한계기업 비중은 2021년 14.9%에서 지난해 15.5%로 올라갔다. 특히 한계기업의 차입금 비중은 같은 기간 14.7%에서 17.1%로 그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한계기업이 장기간 정상화되지 못하고 존속할 경우 보다 생산적인 부문으로의 자금공급이 위축돼 신용배분의 효율성이 낮아진다”면서 “대내외 충격 발생 시 장기 존속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부실이 증가하면서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7년 이상 이자비용도 못 번 기업 903곳, 모두 50조 빌려= 이자보상배율이 1을 하회하는 기간이 3년 미만이면 취약기업으로, 3년 연속 이어지면 한계기업으로 분류한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5년 이상 연속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곳으로 7년 이상 연속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적었던 곳을 의미한다.
한은은 이 같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이 903곳으로 이들이 금융기관서 빌린 돈의 규모가 50조원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한계기업 차입금(168조7000억원) 가운데 30% 규모다. 또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1년 후 부도 상태(폐업, 자본잠식 등)로 전환될 확률을 의미하는 ‘부실위험’은 5.67%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자산 1000억원 이상 1조원 미만 중견기업과 부동산(6.1%), 운수(6.8%,항공·해운 포함), 사업지원 서비스업(19.6%)에서 장기존속 한계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다만 연도별로 살펴보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기업수 비중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6%에서 2022년 3.6%로 소폭 하락했다.
▶장기존속 한계기업, 자산 절반이 ‘빌린 돈’=지난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평균 자산은 일반기업(非한계기업)의 0.67배, 매출은 0.4배에 그쳤다. 그러나 부채는 1.23배로 많았고, 차입금은 1.47배, 이자비용은 2.32배가 더 컸다. 채무상환능력이 낮다보니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은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총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인 차입금의존도는 50%에 달했다. 자산의 절반이 빌린 돈이란 얘기다.
한은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수익성(매출액영업이익률)은 -3.8%, 유동성(유동비율)은 62.7%, 안정성(부채비율)은 686.5%에 달하고, 상환능력(이자보상배율) 역시 -0.7% 수준으로 주요 재무비율이 저조하다”고 꼬집었다.
보고서는 자산규모 및 업종에 따라 현금흐름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중견 및 대기업은 영업손실을 차입을 확대하면서 보전한 반면, 중소기업(자산 1000억원 미만)은 보유 자산 매각으로 대응했다. 또 자산1조원 이상 대기업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임에도 대규모 차입으로 투자를 확대했다.
업종별로도 같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이라 하더라도 부동산업은 영업현금흐름 수지가 크게 악화되지 않는 수준에서 차입을 통해 투자활동을 이어나갔지만, 운수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은 차입금 축소를 통해 이자 부담을 줄이는 걸 우선시 했다.
한은은 이에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손실 보전을 위해 차입금을 늘리며 이자상환 부담이 증가하면서 유동성이나 상환능력,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자산규모나 산업에 따라 건전성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면서 “부실기업 구조조정 및 취약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정책 시 개별기업의 재무건전성과 자산규모, 산업 특성을 함께 검토해 회생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성연진 기자
yjsu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월 800만원' 건물주 남편 밤낮 없이 게임만…한심” 신혼 2년차 아내의 고충
- 모악산·낙토·수수로..지속가능·보람·가치 여행 [함영훈의 멋·맛·쉼]
- 서경석, 46억 건물 최초 공개…"누추하다"
- “139만원짜리→9만원…삼성 제품 ‘파격’ 가격에 샀어요” 어떻게?
- ‘욕설 퇴출’ 쇼호스트 정윤정, “곧 만나요”…반년 만에 ‘복귀’하나
- “배우 보다 잘 생겼다”…SNS 들썩이게 한 AG 수영선수, 정체?
- 비, 85억 부동산 사기혐의 피소에 “허위사실 법적대응” 반박
- 조민 “아버지 죄송합니다” 父조국에 사과…무슨 일인가 했더니
- 건강이상설 젝키 고지용 "매일 술마셔, 손이 떨린다"
- 홍상수 신작 '우리의 하루' 내달 19일 개봉…연인 김민희 주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