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위험 청년층보다 중장년층 크다 [금융안정보고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이후 40~50대 중장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은 개인사업자 대출 위주로 가계대출을 늘려 향후 신용 리스크가 확대할 우려가 제기됐다.
개인사업자대출도 청년층이 812만원으로 중장년층 3277만원, 고령층 3840만원보다 많이 적었다.
한은은 "고령층은 가계대출 제약 등으로 비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며 "고령층에서는 가계부채 증가가 두드러지지 않으나 자영업자 등 일부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우려가 있다" 우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코로나19 이후 40~50대 중장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은 개인사업자 대출 위주로 가계대출을 늘려 향후 신용 리스크가 확대할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은행은 주택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빠르게 대출을 늘린 30대 이하 청년층은 부담은 크지만, 아직은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분석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인당 평균 가계대출 규모는 청년층이 7927만원으로 중장년층 1억569만원, 고령층 8607만원보다 적었다. 개인사업자대출도 청년층이 812만원으로 중장년층 3277만원, 고령층 3840만원보다 많이 적었다.
이에 소득 대비 총 부채비율(LTI)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높았다. 가계대출만 보면 LTI는 고령층은 지난 2분기 말 기준 242%였다. 청년층(238%)과 중장년층(230%)은 10%포인트(p) 안팎의 차이를 보였다. 가계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을 합한 LTI는 고령층이 350%로 가장 높았다. 중장년층은 301%, 청년층은 262%였다.
한은은 "중년층은 고가 주택 매입 수요 등으로 가계대출이 늘어나고, 장년층은 개인사업자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며 "장년층은 은퇴 등으로 소득 단절이 발생하는 경우 연체율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40대와 50대의 1인당 소득은 4500만원, 4700만원까지 높아졌다가 60대에 4100만원으로 낮아졌다. 1인당 개인사업자 대출도 60대가 39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 3800만원, 40대 2700만원 순이었다.
한은은 "고령층은 가계대출 제약 등으로 비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며 "고령층에서는 가계부채 증가가 두드러지지 않으나 자영업자 등 일부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우려가 있다" 우려했다.
이어 "최근 고령층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며 "경기 회복 지연과 부동산시장 부진 발생 시 이들 부문에서 발생하는 개인사업자 대출 부실이 가계 대출로 전이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청년층은 가계대출을 늘리면서 체증식 상환, 만기 장기화 등을 통해 원금 상환 부담을 낮추고 있다. 청년층의 주담대 체증식 상환 비중은 2020년 2분기 1.4%에서 지난 2분기 7.5%로 높아졌다. 청년층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2분기 말 0.58%로 여타 연령층(0.81%)보다 낮은 수준이다. 취약 차주 연체율은 8.41%로 역시 다른 연령층(8.61%)보다 낮았다. 취약 차주 비중은 7.2%고 잠재 취약 차주 비중은 17.8%로 나타났다.
/이효정 기자(hyoj@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영욱, 또 지드래곤 소환…"두건 즐겨하던 내가 영감을 준 걸까"
- 과즙세연 "16억 후원자 손절 의혹, 명백한 허위사실"
- "잘 팔았지만 손해"…정유업계, 정제마진 하락에 수익성 악화
- 백스윙 골프채에 광대뼈 함몰된 남성…가격한 여성은 '무혐의 처분'
- "선거 패배 받아들여야"…해리스, 대선 결과 승복선언
- 카카오, 3분기 영업익 5% 증가한 1305억원…매출은 1.9조원(상보)
- [1보] 카카오, 3분기 영업익 1305억원…전년 대비 5% 증가
- 9월 경상수지 111억 달러 흑자…9월 기준 역대 3위
- [오늘날씨] "진짜 겨울 시작"…입동날, 서리 내리고 기온 영하권
- 트럼프 당선...韓 반도체 업계, '칩스법' 폐기 여부 촉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