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법 최종안…삼성·SK 안심하긴 아직 일러
[앵커]
미국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 내 생산을 제한하는 보조금 제한 규정을 공개했습니다.
앞서 내놓은 초안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중국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는 우리 반도체 업체들이 안심하기엔 아직 일러 보입니다.
당장의 중국 생산을 유지하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증설은 사실상 불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정부가 내놓은 반도체법 보조금 안전장치 규정의 핵심은 중국에서의 반도체 생산을 제한하겠단 겁니다.
최종안을 살펴보면, 보조금을 받은 기업들은 10년간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량을 5% 이상 늘리면 안됩니다.
이전 세대의 범용 반도체의 경우, 10% 이상 확장할 수 없습니다.
이를 어길 경우 지급한 보조금은 모두 회수합니다.
다만 초안에 있었던 10만 달러 이상 규모의 반도체 설비 확장 투자를 금지한다는 조항은 삭제됐고, 구축 중인 중국 내 설비는 규제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이같은 최종안에 대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별도의 입장을 내놓진 않았지만, 최악은 면했다는 분위기입니다.
최근 중국 화웨이 스마트폰에 SK하이닉스의 반도체가 탑재된 사실이 알려진 점 등을 감안했을 때, 엄격한 규제안이 나올 것이란 전망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에서 전체 낸드플래시 40%를 생산하고 있고, SK하이닉스는 다롄과 우시에서 각각 전체 낸드플래시와 D램의 20%, 40%를 만듭니다.
그런데 이번 보조금 규제로 중국에서의 설비 시설을 더 확장하는 건 사실상 어려워졌습니다.
<김양팽 /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반도체의 핵심 생산(시설)은 국내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늘어나는 수요, 첨단 반도체에 대한 제조는 국내에 집중을 해서…"
당장 한숨은 돌렸지만 미중간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도 중국 리스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겁니다.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 (ju0@yna.co.kr)
#반도체법 #칩스법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지지율 33%"…연합뉴스TV 정례 여론조사
- "신당 창당 시 지지" 25%…"중진 험지 가야" 51%
- 이번엔 구내식당 양념통에서 '쥐'…중국 또 위생논란
- 한국, 국제학업평가 상위권…수학·읽기·과학 모두 올라
- "이스라엘군 탱크, 가자 남부 최대도시 칸유니스 진입"
- [씬속뉴스] 자전거·킥보드 타고 실내 매장 휘저은 남성…SNS엔 수상한 내용이
- 포천서 "초등 담임교사 여학생들 성추행"…경찰 조사중
- 하마스 측 "팔레스타인 사망자 1만6천명 넘어"
- 유동규 탄 승용차, 대형트럭에 충돌…병원 이송
- 추위 풀리자 짙은 미세먼지…퇴근길 요란한 겨울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