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잇단 결함 이슈…“당분간 외면할 주식” (영상)
품질 이슈로 인도 일정 차질 불가피...수익 전망치 ↓
강력한 항공기 교체 수요…중장기 전망 ‘낙관’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글로벌 항공기 제조기업 보잉(BA)에 대해 지금은 잠시 비켜가야 할 때라는 평가가 나왔다. 항공기 결함 이슈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당분간은 중립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다만 중장기 관점에서의 투자 매력은 여전히 높다는 의견이다.
매출 구성은 지난해 기준으로 방산 및 우주사업 부문이 35%를 기록했고 여객기 부문과 글로벌 서비스(여객기 관리 및 보수 등) 부문이 각각 39, 26%를 차지하고 있다.
보잉은 코로나 기간 중 하늘길이 막히면서 극심한 적자 상태가 지속됐다. 엔데믹과 함께 여객기 수주가 급증하면서 호황기를 맞았지만 항공기 결함 이슈가 잇따라 터지면서 발목이 잡혔다. 보잉은 지난 6월 787 드림라이너에서 결함(수평 안정 장치 관련 문제)이 발견돼 항공기 인도가 지연된 데 이어 지난달 스피릿 에어로 시스템즈로부터 납품 받는 737 맥스 동체에서도 결함(후방 압력 격벽에 부적절한 드릴링(구멍) 확인)이 발견돼 고객사로의 항공기 인도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스튜어트 글릭먼은 “품질 관리 문제를 고려할 때 투자의견 및 목표가 하향은 타당하다”며 “737 맥스의 결함 문제 해결이 지연되면서 항공기 배송 일정 차질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보잉은 2025~2026년 737 라인의 인도량 목표치로 월 50대(연간 600대)를 제시했지만 너무 낙관적 목표치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내년 보잉의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당초 6.02달러에서 5.39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그는 다만 중장기 관점에서 보잉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2022년 기준 전 세계 항공기의 약 76%는 2042년까지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는 보잉에 강력한 기회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보잉은 2042년까지 중국의 항공기 수요 전망치를 당초 8485대에서 8560대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이는 글로벌 항공기 수요가 강력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보잉에 대해 투자의견을 제시한 월가 애널리스트는 총 26명으로 이 중 16명(61.5%)이 매수(비중확대 및 시장수익률 상회 등 포함)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평균 목표주가는 259달러로 이날 종가보다 31% 높다.
※ 네이버 기자구독을 하시면 흥미롭고 재미있는 미국 종목 이야기를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이든 국내 주식이든 변동엔 이유가 있습니다. 자연히 모든 투자에도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를 찾아가는 길을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가 서학 개미들의 길잡이가 되겠습니다. 매주 월~금 오전 7시40분 유튜브 라이브로 찾아가는 이유 누나의 ‘이유TV’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유재희 (jhyoo76@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재냉동 되나요?" 추석선물 뒤늦게 열자 해동된 한우가…[궁즉답]
- “선생님 삥뜯길 때 학교는 뭐 했나” 호원초 관리자들도 신상 털렸다
- “한진이가 도와준다 카네” 해상사고 돕다 실종된 50대 선장 사연
- 연말까지 전기승용차 국비 보조금 최대 680만 원→780만 원
- “아버지 죄송합니다” 조민, 조국에 사과한 이유는
- 머리 위로 떨어질 뻔…세운상가 83㎏ 외벽 붕괴 CCTV 보니
- "알바 없나요" 자영업자들, 황금연휴 아닌 한숨연휴
- '화란' 송중기 "결혼 당시 루머에 분노했지만…♥케이티에게 배워"[인터뷰]①
- '화란' 송중기 "경력단절 발언 논란, 신중해야겠다 반성"[인터뷰]②
- ‘36분 출전’ 이강인, 가장 먼저 교체됐지만 한 장면으로 점검 끝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