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용돈 5만원권이 대세’…화폐발행잔액 비중 90% 달해[머니뭐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추석·설 등 명절 용돈을 비롯해 축의금·조의금 등에도 5만원권이 널리 사용되면서 화폐발행잔액 비중이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2월 5만원권 비중은 화폐발행잔액의 30%대, 2010년 9월 40%대, 2011년 8월 50%대로 뛰었다.
2017년 11월 80%대에 올라선 5만원권의 화폐발행잔액 비중은 2021년 6월 85%를 돌파했다.
화폐발행잔액 중 5만원권의 비중이 90%에 육박하지만 시중 유통 후 한은으로 돌아오는 비중(환수율)은 절반 수준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만원권 비중 10% 미만…나머지 1%도 못 미쳐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추석·설 등 명절 용돈을 비롯해 축의금·조의금 등에도 5만원권이 널리 사용되면서 화폐발행잔액 비중이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만원권 비중은 10% 아래로 낮아졌고, 5000원권과 1000원권은 1%도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전체 화폐발행잔액 176조8000억 중 5만원권 지폐는 155조7000억원으로, 화폐발행잔액 중 88.1%를 차지했다. 5만원권 비중이 88%를 넘은 것은 2009년 6월 발행 이후 처음이다.
화폐발행잔액이란 한은이 시중에 공급한 화폐 중 환수한 돈을 제외하고 시중에 남은 금액이다. 첫 발행 당시 시중 화폐 중 5만원권 비중은 7.7%에 그쳤지만, 다음 달인 7월 12.9%로 곧바로 10%를 넘어섰고, 9월(20.5%)에는 20%까지 늘었다.
이후 경제 규모 확대, 물가 상승 등으로 사용하기 편한 고액권 수요가 늘면서 5만원권 유통 규모는 빠르게 커졌다. 2010년 2월 5만원권 비중은 화폐발행잔액의 30%대, 2010년 9월 40%대, 2011년 8월 50%대로 뛰었다. 2012년엔 12월 60%선에 올라섰고, 2015년 1월에는 70%선마저 뚫었다. 2017년 11월 80%대에 올라선 5만원권의 화폐발행잔액 비중은 2021년 6월 85%를 돌파했다.
반면 1만원권 비중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8월 기준 1만원권 지폐 발행잔액은 15조6000억원으로 전체 화폐발행잔액 중 비중은 8.8%로 역대 최저로 집계됐다. 5만원권 발행 직전인 2009년 5월 1만원권 비중이 86.6%에 달했지만, 이후 5만원권이 확산하면서 1만원권 비중이 계속 줄었다.
2010년 9월(49.7%) 50% 밑으로 떨어진 1만원권 비중은 2011년 8월 다시 40% 아래로, 2013년 3월 30% 아래로 내려갔다. 2015년 11월 10%대로 떨어진 뒤 지난해 7월부터는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5000권과 1000원권은 1만원권보다 존재감이 훨씬 미약해졌다. 5000원권과 1000원권 발행 잔액은 8월 말 기준 1조4000억원과 1조6000억원 수준으로, 전체 화폐발행잔액 중 비중은 0.8%와 0.9%에 그쳤다.
화폐발행잔액 중 5만원권의 비중이 90%에 육박하지만 시중 유통 후 한은으로 돌아오는 비중(환수율)은 절반 수준이다. 5만원권 발행 이후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40∼60% 수준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 24.2%, 2021년 17.4%까지 떨어졌다.
화폐 환수율이 낮다는 것은 화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지 못하고 가계나 기업, 금융기관 등 경제주체들이 거래나 예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코로나19 여파로 대면 거래가 줄어들고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비상용 현금으로 고액권인 5만원을 쌓아두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만 방역조치 완화로 5만원권 환수율은 지난해 56.5%로 예년 수준을 회복했고, 올해 들어서는 1분기 112.4%로 치솟았지만 2분기에는 다시 41%로 떨어졌다.
반면 1만원권 등 나머지 화폐의 환수율은 꾸준히 100% 안팎 수준을 보이고 있다. 1만원권 환수율은 2021년 95.9%, 지난해 127.6%였고, 5000원권은 같은 기간 90.9%와 97.6%, 1000원권은 106.9%와 98.2%로 집계됐다.
moone@heraldcorp.com
Copyright©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철부대3’미 특수부대 이안, 근육질 몸매로 분위기 압도……참호 격투 실력은?
- "승리 빼앗겼다"…정용진, KBO 사무국 찾아간 이유는?
- “결국 또 나영석 내세웠다” 충격의 적자 사태…급해진 엔터 명가
- ‘애시’민규♥이수&겨레♥지영 현커 모멘트 핑크빛 결말+새 커플 탄생 기대 UP
- "날 반겨주세요"…DJ 소다, 아찔한 옷 입고 다시 일본 방문
- ‘1947 보스톤’ 하정우 “손기정 역할 부담스러웠다…강제규 작품, 꿈꿔왔던 일”[인터뷰]
- '한국의 판빙빙'…탈북자 출신 배우 김아라 '품절녀' 됐다
- 방탄소년단 정국, 英 오피셜 차트 10주 연속 진입
- ‘무빙’ 곽선영, 류승룡과 투박하지만 가슴 먹먹한 로맨스 완성…세밀한 지희 그려내
- ‘이터니티(IITERNITI)’, BBC서 새로운 한류 주역으로 주목한 버추얼 K팝 걸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