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이어 중국어 교육까지…'反美' 니카라과, 中과 결속 강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남미의 반미(反美)국가 중 하나인 니카라과가 중국과의 수교 및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이어 언어 교육 강화에 나서는 등 중국과의 결속을 강화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니카라과 친정부 매체 '엘19디지털'과 니카라과 교육부 소셜미디어 등을 종합하면 니카라과 교육부는 지난 22일 수도 마나과에서 중국 언어교육협력센터와 중국 표준어 푸퉁화(만다린) 교육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중남미의 반미(反美)국가 중 하나인 니카라과가 중국과의 수교 및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이어 언어 교육 강화에 나서는 등 중국과의 결속을 강화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니카라과 친정부 매체 '엘19디지털'과 니카라과 교육부 소셜미디어 등을 종합하면 니카라과 교육부는 지난 22일 수도 마나과에서 중국 언어교육협력센터와 중국 표준어 푸퉁화(만다린) 교육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니카라과 교육부는 "교원 양성 대학에서 중국어 학습이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 아들인 라우레아노 오르테가 무리요 대통령 경제고문은 이날 행사에서 "니라카과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우리나라에서의 의제에 우선순위를 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감사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
리이암 에레라 니카라과 교육부 장관도 "중국어는 향후 양국 관계 강화를 위한 기본 기둥이 될 것"이라며 "교사와 학생들이 자매국(중국)과의 돈독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준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기 집권과 인권 탄압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큰 비판을 받는 오르테가 정권은 최근 들어 중국을 외교의 주요 파트너로 의지하는 듯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펴고 있다.
1990년에 중국과 단교하고 대만과 관계를 유지하다 2021년 12월 다시 중국의 손을 잡은 니카라과는 지난 달 중국과의 FTA 정식 체결 이후 "무역·투자 수지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친정부 매체를 통해 홍보하고 있다.
미국과 이웃 중미 국가들을 제외하면 중국은 니카라과의 최대 교역국이다.
중국은 경제 협력을 연결고리로 해서 니카라과에서 '하드 파워'를 적극적으로 키우고 있으며 언어 교육을 통해 소프트 파워의 기반을 확대하는 효과도 노릴 것으로 관측된다.
walde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대 2명 차량서 극단선택 시도…3시간 뒤 또래 차주도 사망 | 연합뉴스
- "마지막까지 소임 다해"…30대 의사, 장기기증해 5명 살렸다 | 연합뉴스
- 부고 문자 확인하려다…'좀비폰' 감염된 뒤 문자까지 대량 발송 | 연합뉴스
- 김하성 "공갈 협박당했다" 같이 뛰던 후배 야구선수 고소(종합) | 연합뉴스
- 아내 출산하러 간 사이 지적장애 후배 성폭행한 20대 기소 | 연합뉴스
- 네타냐후에 버럭한 인질들…"우리 편 공격이 더 위험했다" | 연합뉴스
- 서해피격 전말…사망했는데 '생존' 발표하며 "자진월북 정황 알려라" | 연합뉴스
- 베네치아서 中관광객들 곤돌라 뱃사공 지시 어겼다가 풍덩 | 연합뉴스
- 2심도 "'김건희 통화녹음 공개' 서울의소리, 1천만원 배상하라" | 연합뉴스
- 뉴욕타임스 올해 스타일리시 인물에 尹대통령·뉴진스 선정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