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모임 중에 끌려가 고문…33년 만에 무죄[뉴스속오늘]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이날 대법원 2부(주심 김창석 대법관)는 부림사건으로 유죄 판결받았던 고호석(당시 58)과 설동일(58), 노재열(56), 최준영(62), 이진걸(55) 등 5명에 대한 재심 사건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수사 기관이 독서 모임에서 나눈 이야기가 반국가단체 행위에 해당한다며 누명을 씌운 것이다.
피해자들은 영장이나 구속통지 없이 신원을 알 수 없는 사람들에 의해 연행됐다. 이들은 오랜 기간 독방에 갇혀 범행에 관한 자술서 작성을 강요받았다. 이들은 체포 이후 구타와 고문에 시달리다 자백하는 내용의 자술서를 작성해야만 했고 이들의 자술서 내용은 누군가가 불러준 내용을 받아 적은 듯 내용이 거의 같았다.
이 사건은 국가보안법이 정권의 안보를 위한 도구로 쓰이는 실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됐고 노무현, 김광일 등이 무료 변론에 나섰다. 특히 이 사건을 계기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인권변호사의 길을 걷게 되기도 했다.
노무현은 변호인 접견 중 피해자 몸에 남은 고문의 흔적을 보고 충격을 받고 사건을 더욱 파헤친 것으로 알려졌다. 법정에서도 마치 자신이 공범 수준이 돼 격정적인 변론을 펼쳤다.
피해자 5명은 다시 재심을 청구했다. 세월이 흐르고 2014년 2월 부산지법 형사항소2부(부장판사 한영표)는 이들이 국가보안법을 위반하지 않았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그리고 같은 해 9월 대법원 2부가 최종적으로 무죄를 확정했다. 33년 만에 얻어낸 무죄 판결이었다.
무죄 확정과 함께 법원은 부림사건 피해자에 대한 국가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다. 부산지방법원 제8민사부(부장판사 김창형)는 2015년 11월 부림사건 피해자 2명의 가족이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
당시 재판부는 판결 선고를 하며 "과거 군사정권 시절 수사기관이 저지른 불법에 대해 사법부가 책무를 다하지 못한 것을 죄송하게 생각하고 이 판결로 조금이나마 피해복구가 되길 바란다"라고 사과했다.
2018년에는 부산지방법원 형사2부(최종두 부장판사)가 2016년 제기된 부림사건 피해자 10명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재심 재판부는 계엄법에 저항한 피고인들의 행동이 "전두환 등의 헌정 질서 파괴 범행을 저지하거나 반대함으로써 헌법의 존립과 헌정 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정당한 행위에 해당한다"라고 밝혔다.
마아라 기자 aradazz@mt.co.kr
Copyright©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징맨' 황철순과 이혼 절차…아내 "양심 있으면 양육비 보내라" - 머니투데이
- 선우용여 "남편, 치매·파킨슨병 같이 와…참으면 다 잘 될 것" - 머니투데이
- 母 머리채 잡고 발길질…초3 금쪽이 "날 도와주는 건 죽는 거" - 머니투데이
- 송중기, 韓 두 번째 일정은 안혜경 결혼식 사회…무슨 인연? - 머니투데이
- 박나래 "결혼도 안 했는데 임부복"…스타일리스트 만행에 극대노 - 머니투데이
- "내 차에도 달까?"…빨간 코, 양쪽엔 뿔 '루돌프 차' 따라했다간 - 머니투데이
- 최수민 "사업 실패→아들 차태현, 여의도 아파트 선물…고마워" - 머니투데이
- "기침만 했는데 퍼졌다"…백신도 없는 '중국발 폐렴' 정체는? - 머니투데이
- 꽁꽁 싸맸던 '마스크맨' 김지송, 술김에 얼굴 공개→자해까지 충격 - 머니투데이
- "황의조, 영상통화 중 노출한 女 몰래 녹화"…추가 범죄 의혹 제기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