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헌의 히스토리 인 팝스] [180] 독재자의 함정

강헌 음악평론가 2023. 9. 25.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reddie Mercury ‘The Great Pretender’(1987)

대륙굴기를 외치며 야심 차게 출발했던 중국 시진핑 정권의 전망이 국내외적 암초로 인해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 부동산 위기로 격발된 경제 불황은 전 지구적인 도미노를 일으키고 있고, 경기 침체의 필연적인 동반자인 청년 실업률은 지난 6월을 기준으로 21.3%라는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바깥으로는 대만 문제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임계점을 향해 끓어오르고 있는 중이다.

몇 달 전 친강 전 외교부장이 조용히 사라진 이후 최근 모습이 사라진 리상푸 국방부장에 이르기까지 시진핑이 자신의 최측근에 해당하는 고위급 인사들을 줄줄이 숙청시키는 행보도 심상치 않다. 이 인사들은 시진핑이 발탁하여 고속 승진시킨 이들이다. 대만 침공을 둘러싼 시 주석과 중국 군부의 의견 차이가 내부 갈등의 원인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천안문 사태의 주역 중 한 명이자 반체제 운동가인 왕단은 이런 시 주석의 행보에 대해 측근에게조차 의심이 많아지고 망상에 빠져 외톨이가 되는 전형적인 독재자의 함정에 빠진 것이라고 분석한다.

보컬 그룹 플래터스가 1955년에 발표한 이 노래는 퀸의 보컬리스트 프레디 머큐리가 에이즈로 죽기 4년 전에 완벽하게 부활시켰다. 감정적으로 과장된 이 보컬은 오늘날 시진핑의 마음을 대변하는 것 같다.

“그래요, 난 대단한 위선자입니다/광대처럼 마냥 웃고 유쾌한 표정을 짓지만/당신이 보기에도 지금 내 모습은 내가 아닐 겁니다/난 내 마음을 왕관처럼 쓰고 있어요/당신이 아직도 내 곁에 있는 것처럼/괜찮은 척하는 내 모습이 너무도 진짜 같네요(Yes, I’m the great pretender/Just laughing and gay like a clown/I seem to be what I’m not, you see/I’m wearing my heart like a crown/Pretending that you’re still around/Too real is this feeling of make believe).”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