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은 공간에서 함께 사는 법[내가 만난 名문장/정재훈]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2023. 9. 24. 23: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년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미지의 세계에 대한 아름답고 놀라운 사진을 보내온 시기로 기억될 것이다.

이 망원경은 지구의 시점에서 외부를 보고 있다.

반대로 30년 전 1990년 보이저 1호는 태양계를 떠나며 망원경을 반대로 돌려 우리의 고향 지구를 우주의 시점에서 바라보았다.

인간이 특별하다는 착각을 저 작은 파란 점이 반증하고 있다고, 또 저 미미한 공간에서 우리는 사랑으로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만용, 우리의 자만심, 우리가 우주 속의 특별한 존재라는 착각에 대해, 저 희미하게 빛나는 점은 이의를 제기합니다. 우리 행성은 사방을 뒤덮은 어두운 우주 속의 외로운 하나의 알갱이입니다.’

―칼 세이건 ‘창백한 푸른 점’ 중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2023년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미지의 세계에 대한 아름답고 놀라운 사진을 보내온 시기로 기억될 것이다. 원시 은하, 별의 탄생 순간, 엄청난 블랙홀은 우주가 얼마나 광대하고 놀라운 공간인지 보여준다. 이 망원경은 지구의 시점에서 외부를 보고 있다. 반대로 30년 전 1990년 보이저 1호는 태양계를 떠나며 망원경을 반대로 돌려 우리의 고향 지구를 우주의 시점에서 바라보았다. 사진 속 지구는 작은 푸른 0.12 픽셀 하나에 불과했다. 그 미미한 점의 공간은 인류의 모든 삶과 성취, 역사, 갈등을 담고 있다.

한국 사회는 갈등의 연속이다. 정치권과 세대·성별 간의 다툼은 이제 일상이 되었고, 그 결과 우리나라는 가장 지속 가능성이 낮은 국가가 되어 버렸다. 칼 세이건은 이렇게 이야기한다. 인간이 특별하다는 착각을 저 작은 파란 점이 반증하고 있다고, 또 저 미미한 공간에서 우리는 사랑으로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다고.

우리 사회의 갈등도 유사한 맥락이다. 국민은 어느 나라나 여행을 떠날 수 있지만 우리 모두가 옮겨 살 수 있는 다른 나라는 없다. 이 작은 터전에서 우리는 어떻게든 아이들과 그 아이들과 함께 삶을 이어 나가야 한다. 첨예해 보이는 갈등도 한 걸음만 떨어져서 보고, 모두의 미래를 생각해서 한 걸음 양보할 수 있어야 한다.

양극단보다는 서로 협의할 수 있는 사회가 ‘창백한 푸른 점’ 속 작은 나라에 꼭 필요하다. 광대한 공간에서 작고 미미한 존재로서 우리는 서로 의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