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만난 시진핑 “한-중 서로 존중해야”…방한 언급은 없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회담에서 한-중이 "서로를 존중하며 우호 협력의 큰 방향을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미-일 밀착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며, 중국 외교부 발표문에는 한국 정부 발표와는 달리 시 주석 방한 계획에 대한 언급도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회담에서 한-중이 “서로를 존중하며 우호 협력의 큰 방향을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미-일 밀착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며, 중국 외교부 발표문에는 한국 정부 발표와는 달리 시 주석 방한 계획에 대한 언급도 없다.
중국 외교부는 23일 저녁 이날 중국 항저우에서 진행된 한 총리와 회담을 하고 이같이 말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외교부 발표를 보면 시 주석은 양국 외교 관계에 대해 “이사 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수 없는 협력 동반자”라며 “중국은 한국과 함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시대에 발맞춰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시 주석은 “한국이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중시하고 발전시키겠다는 것을 정책과 행동에 반영하고, 서로를 존중하며 우호 협력의 큰 방향을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는 한국 정부가 최근 미-일과 밀착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견제 성격의 발언으로도 읽힐 수 있다.
시 주석은 “중국은 14억명 이상의 인구가 현대화에 진입했다. 거대한 시장을 더 개방할 것이다”며 “중한 경제는 밀접하고 산업망과 공급망이 깊이 융합돼 양국이 상호 이익 협력을 심화해야 계속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중국과 한국은 다자주의와 글로벌 자유 무역 시스템을 옹호하고 소통과 조정을 강화하며 국제 질서를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도 말했다. 미국이 최근 중국에 대한 첨단 기술 투자를 금지하며 대중국 견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에 대해 한국이 동참하지 말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회담 직후 기자설명회에서 시 주석이 먼저 “방한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으나, 중국 외교부 발표문에 시 주석 방한 언급은 없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항저우 첫 금메달…강완진 태권도 품새 2연패
- ‘삼중수소’ 5살 몸에서 어른보다 더 나와…원전 ‘암 소송’ 9년
- 먹어도 배고픈 고통…‘안락사’ 곰 위장 막은 물티슈·비닐
- 근대5종 전웅태, 항저우 한국 선수단 첫 2관왕
- 9살 최연소 국가대표…‘이 종목’ 선수는 평균 19살 [아하 항저우]
- 수술실 CCTV 내일부터 의무화…환자도 영상 볼 수 있나요? [Q&A]
- 폐지 줍는 노인 정직원 채용한 기업…‘종이가죽’ 가방의 탄생
- 김행, 주식파킹 의혹 친구 “공동창업자” 해명…직원들 ‘금시초문’
- ‘노동자 추락사’ 구속된 인천항만공사 전 사장 2심서 무죄
- 교사에 400만원 갈취한 학부모 직장 ‘농협’ 사과문…항의 빗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