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유망하다는데···SK케미칼, 제약사업 매각 왜? [Why 바이오]

김병준 기자 입력 2023. 9. 24.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케미칼(285130)이 제약사업부(Life Science Biz) 매각을 추진한다.

제약바이오 산업이 유망 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SK케미칼이 해당 사업부 매각을 추진하자 업계에선 그 배경에 대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케미칼이 제약사업부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에도 SK케미칼은 제약사업부를 매각하려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신 분야 등 포트폴리오 집중
SK케미칼 판교 본사 전경. 사진 제공=SK케미칼
[서울경제]

SK케미칼(285130)이 제약사업부(Life Science Biz) 매각을 추진한다. 제약바이오 산업이 유망 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SK케미칼이 해당 사업부 매각을 추진하자 업계에선 그 배경에 대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케미칼이 제약사업부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추정가는 약 6000억 원이다. 인수 대상자는 LG화학의 진단사업부를 인수한 글랜우드PE다. 양사 간 단독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현재 글랜우드PE는 SK케미칼 제약사업부의 실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SK케미칼이 제약 사업 매각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주력인 그린케미칼 사업을 키우기 위한 투자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포석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소재 생산 인프라를 확대에 나선다. 기존 생산 라인을 울산 공장 중심에서 중국으로 확대하는데 집중한다. SK케미칼은 2025년까지 그린·바이오 소재 분야에 총 1조2000억 원을 투자하겠다는 청사진도 밝힌 바 있다.

◇SK케미칼, 매각 추진 언제부터···작년에도 매각 추진 한 것으로 알려져=SK케미칼은 2015년 무렵 신약 조직을 사실상 정리하며 인력을 대폭 감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훈택 대표가 티움바이오를 창업하며 인력 이동도 대거 일어났다. 당시에도 SK케미칼은 제약사업부를 매각하려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약사업부 매각 정황은 작년에도 포착됐다. SK케미칼은 사모펀드운용사 등을 포함한 세 곳의 투자자들과 협상을 진행했다. 다만 가격 등 서로 조건이 맞지 않아 매각이 최종적으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약사업부 매각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금리 인상 기조 하에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이라고 했다.

백신 분야에 집중하기 위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백신에 주력하기 위해 SK바이오사이언스를 분사하고 수천억원의 투자를 단행하는 등 진단 및 예방 사업에서 미래를 보고 있단 설명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효과를 즉각적으로 본 상황에서 추가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급전이 필요한 상황도 맞물렸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그룹의 포트폴리오를 백신과 위탁개발생산(CDMO) 쪽으로 집중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Why 바이오 코너는 증시에서 주목받는 바이오 기업들의 이슈를 전달하는 연재물입니다. 주가나 거래량 등에서 특징을 보인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해 시장이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이슈에 대해 해설하고 전망합니다. 특히 해당 기업 측 의견도 충실히 반영해 중심 잡힌 정보를 투자자와 제약·바이오 산업 관계자들에게 전달합니다.

김병준 기자 econ_jun@sedaily.com

Copyright©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