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정책은 문재인 유산?…보수정권에서 진심이었던 친환경 정책은 [대통령의 연설]
윤석열 정부는 지난 20일 개인투자자들도 탄소배출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배출권 거래시장 활성화 방안’을 공개했습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을 제어하는 동시에, 탄소를 배출을 적게하는 기업이 많이 배출하려는 기업에게 배출권을 판매하게 하는 일종의 환경정책으로 볼 수 있는데요.
그동안은 일부 관련기업들만 배출권을 사고 팔 수 있던 탓에 시장유동성이 부족해졌고, 그결과 거래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변동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심각했죠. 이번 조치를 통해 시장참여자가 늘면 자연히 유동성이 공급되며 제도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통상 진보정권에서 환경정책에 더 적극적인 반면 배출권 거래제는 보수정권에서 도입되고 더욱 발전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아마도 진보정권에서는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보수정권에서는 그 과정에서 벌어질 수 있는 부작용을 시장기능을 통해 최소화하는 배출권 거래제에 관심을 둔 결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대통령의 연설 이번 회차에서는 배출권 거래제에 관한 역대 대통령들의 언급을 통해 발전상을 되짚어보려 합니다.
이듬해 5월에는 마침내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 통과됐는데요. 그해 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이 전 대통령은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틀도 마련했습니다. 지난 5월 국회의 초당적인 협력으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이 통과했습니다”라며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한국의 발전된 탄소감축 기술들을 소개하는 동시에 “2015년부터 아시아 최초로 전국 단위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국민이 아낀 전기를 사고팔 수 있는 시장도 열어서 모든 국민들이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여러 회의에서 이를 자랑스럽게 소개하는데요. 2019년 미국에서 열린 기후행동정상회의에 참석해 연설 서두에서부터 “한국은 파리협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동아시아 최초로 전국 단위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석탄화력발전소 네 기를 감축했고, 2022년까지 여섯 기를 더 감축할 예정입니다”라 말했습니다.
Copyright©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악녀의 자식, 자퇴해라”…‘의정부 교사사건’ 학부모 자녀 대학에 대자보 - 매일경제
- “정도껏 해야지, 꼴 보기 싫어”…백종원, 예산시장 살리려다 분노폭발 - 매일경제
- 이재명 단식 24일 차에 중단…與“꼼수 없이 사법절차 임해야” - 매일경제
- “바닥 뚫고 지하실로 떨어지네”…카카오 신저가에 개미는 ‘피눈물’ - 매일경제
- 영업익 2조원 넘을까…삼성전자 3분기 실적 두고 낮아지는 기대치 - 매일경제
- 남녀 누드모델 사이 비집고 들어가서 보는 유명 행위예술가 회고전 - 매일경제
- [속보] 서울·김포서 일가족 5명 숨진 채 발견 - 매일경제
- 이재명 단식 언제까지…충격 ‘가결’에 민주당, 혼돈 속으로 - 매일경제
- 4명이 포차서 먹으려면 100만원…부산불꽃축제, 또 바가지 논란 - 매일경제
- 설마설마했는데, 정말 아시아 삼류로 전락…‘12人 연봉 66억 5800만원’ 임도헌호, 충격적인 6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