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독재자가 살찐 이유…‘자전거보다 느린 열차’ 안에 뭐가 있길래 [박민기의 월드버스]
전용기 ‘참매 1호’ 대신 전용열차 타
방탄 장갑 등 최고 수준 보안 갖춰
김정은 즐기는 산해진미 항시 제공
러시아 머무르면서 잠도 열차서 자
김정은의 이번 방문에서 러시아는 앞으로 북한의 첨단 군사기술 개발에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에 북한은 러시아에 포탄 등 군사물자를 지원하고 러·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지지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습니다. 이처럼 북·러 간 군사 협력 의지가 주요 의제로 떠올랐지만 동시에 세간의 관심이 쏠린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김정은의 이동 수단입니다. 김정은은 이번 러시아 방문 때 자신의 전용기인 ‘참매 1호’ 대신 전용 열차를 이동 수단으로 선택했습니다. 전용기를 타면 평양에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까지 1시간이면 가지만, 전용 열차를 이용할 경우 20시간 가까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정은이 약 19시간을 돌아가야 하는 전용 열차에 몸을 실은 이유는 뭘까요?
이번 러시아행에 사용된 이동 수단은 울창한 숲을 떠오르게 하는 진녹색의 열차로 김정은을 비롯해 김일성과 김정일 등 과거 북한 지도자들의 ‘발 역할’을 해왔습니다. 해당 열차는 일반 열차와 달리 최고속도가 시속 50㎞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평양에서 약 680㎞ 떨어진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는 데만 20시간 가까이 걸립니다. 이는 매년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세계적 권위의 사이클 대회 ‘투르 드 프랑스’에서 선수가 모는 자전거보다도 느린 속도입니다. 열차가 이처럼 느린 이유 중 하나는 김정은의 신변 안전을 위해 특정칸이 두꺼운 장갑 등으로 방탄 설계됐기 때문입니다. 방탄 장갑을 두른 만큼 일반 열차보다 무게가 최소 수천㎏ 더 무거워 이동 속도도 훨씬 느려지는 것입니다. 김정은 본인도 신변 위협이나 예상치 못한 사고, 암살 위험 등에 대비하기 위해 평소 전용기 대신 전용 열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열차에는 김정은이 항상 애용하는 메르세데스-벤츠 방탄 리무진 차량을 실을 수 있는 특수칸이 마련돼 있습니다. 아울러 그가 상시 회의를 소집할 수 있도록 고급 가죽 소파 등이 놓인 회의실이 있습니다. 회의실과 통신실 등에는 김정은이 언제든지 지시를 내릴 수 있는 통신장비들이 갖춰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열차는 사고나 공격을 받아 물에 빠지는 등의 극한의 상황에 처해도 침수되지 않고 버틸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김정은이 탑승한 전용 열차가 이동할 때는 항상 2대의 열차가 동행합니다. 안보선발열차가 제일 앞에, 김정은이 탄 지도자 전용 열차가 중간에, 경호원 탑승 및 물자 적재를 위한 수송 열차가 제일 뒤에 배치돼 함께 달립니다. 이들 열차가 사실상 김정은을 지키기 위한 하나의 ‘요새’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김정은 뿐만 아니라 그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생전 해당 열차를 러시아 고위 관리 등 해외 귀빈을 맞이할 때 자주 사용했습니다. 당시 김정일과 귀빈들은 북한 여성 합창단의 노래를 들으며 고가의 프랑스 와인을 마신 적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명한 주당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코냑 ‘헤네시 파라디’를 매년 80만달러(약 11억 원)어치씩 사들였던 김정일은 전용 열차를 탈 때도 항상 이를 몇 병씩 갖고 다녔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정은이 러시아 방문을 위해 전용 열차에 몸을 실은 건 약 4년 5개월 전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 이전에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된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약 60시간 동안 열차를 타고 이동했습니다. 하노이까지는 평양에서 전용기로 3~4시간이면 갈 수 있는 거리입니다. 이번 5박 6일 일정 동안 김정은이 러시아에서 이동한 거리는 직선 거리 기준 4200㎞가 넘습니다. 그는 러시아 방문 기간 중 잠도 열차 안에서만 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전용 열차에 대한 김정은의 애정과 신뢰를 가늠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1990년대 중반 닥친 ‘고난의 행군’ 당시 북한에서 굶어 죽은 주민 수는 최소 40만에서 최대 300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코로나19 대규모 봉쇄 조치 여파로 현재 북한 주민들은 ‘제2의 고난의 행군’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 농무부 ‘세계 식량안보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식량 부족분은 121만t에 달했습니다. 유엔은 최근 북한 주민의 약 46%가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김정은을 실은 초호화 열차는 여전히 북·러를 오가며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전용 열차의 수명이 끝날 때 비로소 북한 주민들의 일상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Copyright©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나온지 얼마나 됐다고…돌풍 일으킨 조민 신작, 아빠 책도 인기 - 매일경제
- “뚜껑 제대로 닫을걸”…또 수억원 날릴 위기라는 ‘이 기업’ - 매일경제
- 고향 안가는 게 대세?…성인 절반 이상, ‘귀성’ 대신 ‘이것’ 택했다 - 매일경제
- 삼성 공장 복제 시도하더니 ‘반도체 자립’ 선언한 이 나라 [위클리반도체] - 매일경제
- [주식 초고수는 지금] 일본서 날아든 계약 호재에...의료기기 회사 재빨리 담은 고수들 - 매일경
- 법인카드 정지, 통장도 압류…감독 개인카드 쓰는 테니스 대표팀 - 매일경제
- 인류 역사상 최고의 천재, ‘한국의 미래’ 만들었다고? [Books] - 매일경제
- “생리대 살 돈 좀 빌려줘”…3년간 5천만원 뜯어낸 여친 - 매일경제
-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매-세-지, 9월 23일) - 매일경제
- 설마설마했는데, 정말 아시아 삼류로 전락…‘12人 연봉 66억 5800만원’ 임도헌호, 충격적인 6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