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슈퍼컴퓨터, 농업의 디지털 전환 앞당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최초의 우주 궤도 비행 프로젝트를 배경으로 만든 영화, '히든 피겨스'를 보면 천재 수학자들이 수식을 풀기 위해 수개월 동안 고군분투하는 장면이 나온다.
1초에 100경(10의 18제곱)번 연산이 가능한 '엑사스케일'의 슈퍼컴퓨터 등장으로 우리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 방안의 하나로 디지털 기술과 슈퍼컴퓨터 활용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최초의 우주 궤도 비행 프로젝트를 배경으로 만든 영화, ‘히든 피겨스’를 보면 천재 수학자들이 수식을 풀기 위해 수개월 동안 고군분투하는 장면이 나온다. 끊임없이 계산을 반복하고, 골몰하는 과정에 등장하는 결정적인 비밀 병기는 바로 컴퓨터다. 1969년 인류 최초 달 탐사가 성공하고, 그로부터 50여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다. 1초에 100경(10의 18제곱)번 연산이 가능한 ‘엑사스케일’의 슈퍼컴퓨터 등장으로 우리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를 학습한 AI를 활용해 재배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측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제시해 피해를 최소화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재배 예정 지역의 기후, 작물, 토양 조성 등의 정보를 미리 학습한 AI가 최고의 품질로 최대의 생산이 가능한 재배 조건을 제안하거나 병의 발생을 예측하는 일, 나아가 가장 효과적인 방제법을 제시해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는 일 역시 슈퍼컴퓨터이기에 가능한 시나리오다.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대표하는 주요 키워드 중 또 다른 하나는 디지털 육종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기존의 육종 방법, 즉 사람이 직접 작물을 재배하며 성장 과정을 관찰해 기록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좋은 종자를 얻는 육종 기술은 작지 않은 노동력과 시간을 요구한다. 반면, 디지털 육종은 수십 년 동안 기록된 작물의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빅데이터)화하고, 이를 학습한 AI가 원하는 형질을 예측하고 선발할 수 있게 도와줌으로써 최적의 품종을 신속히 개발할 수 있게 한다.
농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AI 학습모델을 개발·활용하는 일이 관건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018년 슈퍼컴퓨터 1호기를 도입했다. 최근에는 1호기보다 성능이 29배 뛰어난 슈퍼컴퓨터 2호기를 도입하면서 ‘농생명 슈퍼컴퓨팅센터’ 준공(9월21일)이라는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앞으로 슈퍼컴퓨팅 인프라가 없는 연구 기관, 종자회사에서 디지털 육종, 농업 기상 예측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개방하고 기술도 지원하는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언제나 인간을 향해 진화하고, 인류의 삶을 변화시킨다. 농업이 슈퍼컴퓨터를 만날 때 상상은 현실이 된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야당 대표라 다행”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사기에 세입자 사망…‘美호화생활’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