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比 1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2·4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13% 줄었다.
경제 불확실성으로 전체 시장은 움츠러들었지만, 플래그십(최상위기종) 제품군에 대한 수요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IDC에 따르면 올 2·4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은 약 28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2% 감소했다.
전반적인 소비자 심리 지수는 회복되고 있지만,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전체 스마트폰 시장 수요가 계속 감소하는 모양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플래그십 수요는 여전히 견고
폴더블폰 출하도 큰폭 하락
신제품 앞두고 재고 관리 영향
[파이낸셜뉴스] 올해 2·4분기 국내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13% 줄었다. 경제 불확실성으로 전체 시장은 움츠러들었지만, 플래그십(최상위기종) 제품군에 대한 수요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IDC에 따르면 올 2·4분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은 약 28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2% 감소했다. 전반적인 소비자 심리 지수는 회복되고 있지만,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전체 스마트폰 시장 수요가 계속 감소하는 모양새다.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폰 점유율은 85.7%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삼성전자와 샤오미 등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업체가 중저가의 4세대(4G) 이동통신 스마트폰 출시하면서 일부 수요가 중저가 영역으로 흡수됐다는 분석이다.
전체 시장 규모는 줄었지만, 삼성전자의 갤럭시S 시리즈, 애플의 아이폰 시리즈 등 플래그십에 대한 수요는 되레 증가했다. 가격대별로는 800달러(약 106만원) 이상의 플래그십 제품군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8.7%p 증가한 57%를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 출시된 애플 아이폰14, 올해 1·4분기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S23 시리즈를 비롯해 기존의 플래그십 제품에 대한 수요 정도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같은 기간 폴더블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큰폭으로 감소한 약 11만대를 기록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스마트폰 시장 위축과 더불어 삼성전자의 3·4분기 갤럭시Z플립5·폴드5(갤럭시Z5) 출시를 앞두고 재고 부담을 줄이기 위해 폴더블폰 생산량을 줄인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강지해 한국IDC 연구원은 "계속되는 시장 위축에도 견조한 프리미엄 시장의 수요를 대응하기 위한 주요 브랜드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며 "엔데믹 후 오프라인 활동이 늘어나고 고객 경험이 강조되면서 주요 브랜드의 오프라인 매장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프라인 매장은 다양한 제품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 경험을 스마트폰에 국한하지 않고 전반적인 디바이스 생태계로 확장해 다양한 디바이스의 판매 진작과 더불어 충성 고객 확보로 시장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폰 #애플 #삼성전자 #스마트폰 #삼성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랑이 죄인가요"…직장상사와 불륜 저지른 女의 억울함 토로
- 이미숙 "'뽕' 찍으며 많이 싸워…배드신은 대역으로"
- 尹 재구속에, 정청래 "세상과 영원한 격리 환영한다"
- 채정안 "이지혜 때문에 유흥주점 갔다…무대 장악하더라"
- 李대통령, 영남 55% 전지역 '과반'…국힘 4년8개월 만에 10%대 추락
- 남경필 "이재명 대통령까지 될줄 몰랐지만..잘하시는 것 같다"
- 부산 이기대공원 해상서 40대女 숨진채 발견…해경 수사
- 빽가, 신지♥문원 결혼에 "지켜보는 마음 편치 않아"
- 친윤 서정욱 "김건희 여사, 코바나 자주 가서 연락 못 받아…尹, 영장은 기각될 것"
- 이시영 둘째임신…전남편 "반대했지만 책임 다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