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GDP대비 가계부채 세계 4위···피치 "공짜 점심 끝났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부채가 307조 달러(약 40경 8300조 원)로 또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19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국제금융협회(IIF)를 인용해 "올해 상반기 세계 각국 정부·기업·가계의 총부채가 307조 달러로 반년 새 10조 달러 늘었다"고 보도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 세계 부채비율도 336%로 연초보다 2%포인트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금리탓 반년새 10조달러 늘어나
전 세계 부채가 307조 달러(약 40경 8300조 원)로 또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19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국제금융협회(IIF)를 인용해 “올해 상반기 세계 각국 정부·기업·가계의 총부채가 307조 달러로 반년 새 10조 달러 늘었다”고 보도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100조 달러 급증했다.
FT는 “높은 금리에 이자비용이 늘어난 가운데 부채가 증가했다”고 짚었다. IIF 보고서를 쓴 엠레 티프틱은 “국가들이 앞으로 이자비용에 더 많은 돈을 써야 한다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빚의 절대 규모가 크게 불어난 상황에서 시중금리까지 올라 정부와 가계·기업이 앞으로 더 많은 돈을 이자로 내야 할 상황에 직면했다는 이야기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의 에드워드 파커는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선진국의 부채는 늘었지만 (초저금리 덕분에) 이자비용은 큰 변동이 없었다”면서도 “하지만 이제 공짜 점심은 끝났고 이자비용은 부채나 수입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 세계 부채비율도 336%로 연초보다 2%포인트 올랐다. 다만 팬데믹 기간 중 360%를 찍었던 것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증가한 부채의 80% 이상이 선진국에서 발생했다”며 “미국·일본·영국·프랑스가 가장 큰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신흥국에서는 중국과 인도·브라질 등의 부채 상승 폭이 컸다. 가계부채만 놓고 보면 한국의 경우 GDP 대비 규모가 101.7%로 비교 대상 61개국 중 4위를 기록했다. 1위는 스위스(126.1%), 2위는 호주(109.9%), 3위는 캐나다(103.1%)였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재인 정부 비판'하던 개그맨 김영민, 국민의힘 입당…그 코너 속 '내시'가?
- 편의점 빵 먹으려다 '기겁'…빵 안에 살아있는 풍뎅이가 꿈틀?
- 자동차 18대 들이받은 음주운전자…경찰, 실탄 6발 쏴 검거
- 교통사고 내고 주유소 불지른 남성, 마약에 취해 있었다
- ‘택배 주소가 불일치 합니다’…추석 앞두고 ‘스미싱 문자’ 기승
- '명품 사랑' 김여정, 1000만원 디오르백 드는데 현송월은 중국산?
- '대통령 뜻으로 의심 받기 딱 좋아'…한동훈 '잡범' 발언 비판 나선 이준석
- “일본인 다 씹어버려…돌멩이로 찍어버린다”…日 여성 유튜버 봉변 무슨일?
- 덜 익힌 생선 먹었을 뿐인데 '사지 절단'…40대 여성에게 무슨 일이?
- 100세 넘은 여성 성폭행 3시간 만에 사망…달아난 범인의 충격적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