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흔에 배운 한글로 쓴 ‘할머니들의 시’

김옥천 2023. 9. 20. 07: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문해의 달'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글을 읽고 이해한다는 뜻의 '문해'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9월을 문해의 달로 정하고 다양한 행사를 열고 있는데요,

일흔이 넘어서 배운 한글로 시를 쓰고 전시회를 연 할머니들을, 김옥천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세상이 어두운 줄 알고 살았는데, 글을 배우고 나니 빛이 보이더라."]

한 글자, 한 글자 꾹꾹 눌러쓰듯 시를 읽어내려가는 하길자 할머니.

학교에는 다닌 적도 없습니다.

한때는 학교 문턱조차 넘지 못하게 한 아버지를 원망하기도 했습니다.

[하길자/부산 사하구 : "공부를 하고 싶어서…. 남 학교 가는 길목에 쳐다보면, 눈물이 날 정도로 부러웠어요."]

배움에 대한 열망은 일흔셋이 되도록 식지 않았고, 뒤늦게 시작한 한글 공부는 시 쓰기까지 이어졌습니다.

올해로 일흔 다섯 살인 우은순 할머니 역시 마찬가지.

글을 몰랐던 과거와는 전혀 다른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

[우은순/부산 사하구 : "공부를 안 하고 어디를 다닌다고 그러면 아무것도 모르고 다녀야 되잖아요. 엄청 불편하더라고요…. (글을 배우고는) 아주 내가 밝아졌다고 봐야 돼요."]

2020년 기준 의무교육인 중학교 학력이 안 되는 20대 이상 성인은 전국에 약 408만 명.

부산은 성인 인구의 10% 정도인 약 28만 명이 의무교육을 마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7개 특별·광역시 중 문해 교육 잠재수요자 비율이 가장 높은 셈입니다.

부산시가 2020년 11월부터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을 문해교육센터로 지정한 이유입니다.

각 구청 71개 기관에서 올해 2,800명이 넘는 어르신에게 문해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김은지/사하구 평생교육과 주무관 : "글을 쓰고 읽는다는 것이 그냥 단순하게 글자만 익힌다는 것이 아니고, 자기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거거든요."]

글 속에서 찾은 빛으로 시를 빚어낸 어르신들의 작품이 문해의 달을 밝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명진

김옥천 기자 (hub@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