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장] 소재와 형태를 재구성…작품 속에 담아낸 현실과 상상

장선이 기자 2023. 9. 19. 12: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거와 현재 미래의 서사를 그림과 조형, 미디어 아트로 표현한 이돈아 작가는 우리에게 익숙한 전통적인 소재와 형태를 재구성해 작품 속에 시간과 공간 현실과 상상을 담아냅니다.

이돈아 작가는 주로 평면 작업을 선행한 뒤 이 그림을 바탕으로 조형물과 렌티큘러, 영상으로 표현의 영역을 확장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unFun 문화현장]

<앵커>

과거와 현재 미래의 서사를 그림과 조형, 미디어 아트로 표현한 이돈아 작가는 우리에게 익숙한 전통적인 소재와 형태를 재구성해 작품 속에 시간과 공간 현실과 상상을 담아냅니다.

전시 소식, 장선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돈아 개인전 <Omni_Verse> / 11월 3일까지 / 갤러리 마리]

나무와 자개, 금박,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책더미가 평면의 캔버스 위에서 오르고 내리며 입체적으로 움직입니다.

책과 문방사우 등 사랑방에 있는 책장 속에 여러 물품을 그린 '책가도'를 현대적인 디자인 작품으로 표현한 겁니다.

반듯반듯하게 쌓인 책더미는 건물처럼 투시도법으로 표현했습니다.

책장의 기물을 왼쪽에서 오른쪽에서 쳐다본 모양, 위에서 내려다보고 아래에서 올려다본 시선이 한 폭의 그림에 담겼습니다.

[이돈아/작가 : 제가 영화 '인터스텔라'를 굉장히 좋아했어요. 그래서 몇 년에 한 번씩 다시 한번 이렇게 보는 영화인데 거기에 마지막 장면이 저는 책가도 장면이라고 생각을 했어요. 전통적인 책가도를 미래를 향하는 그런 의미로 해석해서 거기서 영감을 얻어서….]

염원과 열망을 상징하는 모란, 매화, 연꽃, 나비 등 과거의 이미지와 기하학적인 구조물을 함께 담아 과거 누군가의 바람과 열망이 현재와 미래를 만들어 간다는 뜻을 담았습니다.

넉넉함을 상징하는 기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은 조선백자 달항아리.

보름달과 항아리를 한 폭의 그림에 담은 그림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가 나타나는 렌티큘러와 미디어 작품으로도 제작됐습니다.

이돈아 작가는 주로 평면 작업을 선행한 뒤 이 그림을 바탕으로 조형물과 렌티큘러, 영상으로 표현의 영역을 확장합니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평면에서 입체로 변화하면서도 작업의 맥락은 이어집니다.

영상 작업은 전시환경에 따라 대형 미디어 파사드, 실내 프로젝터, 모니터, 구조물 설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돼 스케일이나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작품의 매력을 색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 : 최은진, VJ : 오세관)

장선이 기자 su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