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홍수 덕에 내성천 모래톱이 돌아왔다···‘영주댐 담수’ 계속 해야 하나

김기범 기자 2023. 9. 18. 16: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9일 녹조로 진하게 물든 영주댐 하류의 내성천 모습. 생태지평 시민생태조사단 제공

‘마지막 모래강’으로 불리며 맑은 물을 자랑했던 낙동강 지류 내성천이 영주댐 담수 이후 심각한 수질 오염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경보 기준을 훌쩍 뛰어넘는 남조류 세포가 여름은 물론 겨울철까지도 나타났다.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은주 의원(정의당)이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제출받은 내성천 수질 자료를 보면 경북 영주 평은면에 있는 영주댐이 본격적으로 담수를 시작한 2019년부터 올해까지 내성천에서는 극심한 녹조와 유해 남조류 창궐 현상이 여름철마다 벌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녹조 원인이 되는 남조류 개체 수는 조류경보제의 경계 단계 기준인 1만개를 훌쩍 넘어섰다. 영주댐 건설로 물길을 막고, 담수를 실시한 이후 수질 오염 현황이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조류경보제는 3단계로 발령된다. 유해 남조류 개체 수가 2회 연속 ㎖당 1000개를 넘어서면 ‘관심’, 1만개 이상이면 ‘경계’, 100만개를 넘어서면 ‘대발생’이다. 영주댐 인근 지점의 남조류 개체 수를 보면 영주댐 유사조절지에서는 2019년 7월8일 18만개, 같은달 15일 25만개까지 치솟았고, 같은해 영주댐 앞 지점은 8월5일 16만개까지 증가했다. 2020~2022년 여름에도 남조류 개체 수는 최대 21만개까지 늘었다.

올해는 영주댐 앞 지점의 남조류 세포 수가 6월19일 5000개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 14일에는 19만8400개까지 치솟았다. 일반적으로 녹조가 줄어드는 가을과 겨울에도 영주댐 인근 수질측정지점에서는 조류경보제상 관심 단계에 해당하는 남조류 개체 수가 관찰된 사실도 드러났다.

지난달 5일 녹조로 인해 진한 녹색으로 물든 영주댐 상류 내성천의 모습. 김기범 기자

영주댐 앞 지점에서는 2019년 11월11일에도 남조류 개체 수가 1590개를 기록했고, 2020년에는 12월14일에도 2290개가 관찰됐다. 2022년에도 12월13일에 2092개가 관찰됐다. 유사조절지의 경우도 2020년 11월30일 남조류 개체 수가 5592개 기록됐고, 2021년에는 11월9일 1433개, 2022년에는 11월28일 1214개가 관찰됐다.

남조류 개체 수가 수십만개에 달하고, 겨울철까지도 조류경보제상 관심 기준을 넘어서는 것은 ‘녹조라떼’로 유명한 낙동강에서도 흔한 일이 아니다. 1조원 이상을 들여 건설한 영주댐이 낙동강 수질 개선은커녕 내성천 수질까지 악화시켰음이 드러난 셈이다. 내성천은 경북 봉화에서 발원해 영주·안동을 거쳐 예천에서 낙동강 본류와 만나는 하천이다.

환경부가 영주댐 준공 승인을 내준 지난달 22일 영주댐 상류 내성천이 녹조로 인해 진한 초록빛을 띠고 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환경부는 지난달 22일 영주댐 준공 승인을 내줬다. 문화재 복원, 녹조 문제, 예산 낭비 등 논란에도 준공 승인이 나자 환경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지난달 5일 영주댐에서 방류한 흙탕물로 내성천이 누렇게 물든 모습. 김기범 기자

내성천의 수질 악화 실태는 굳이 자료를 보지 않아도 맨눈으로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지난달 4~5일 찾은 내성천은 영주댐을 기준으로 상·하류가 진한 녹색과 황토색으로 달랐다. 댐 상류는 녹조가 창궐했고, 하류는 집중호우 이후 방류로 흙탕물이 됐다. 경향신문이 내성천을 찾은 직후인 지난달 7일 영주댐 앞 지점의 남조류 개체 수는 6만5128개에 달했다.

심각한 수질오염이 매년 반복되고 있지만 수자원공사와 지방환경청은 인근 주민들에게 이를 알리고 경고하지 않았다. 이은주 의원은 “유해남조류 세포가 심각한 수준으로 검출되고 있는데도, 수질 관리에 책임이 있는 대구환경청이 인근 마을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것은 지극히 무책임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5일 영주댐에서 방류한 흙탕물로 내성천이 누렇게 물든 모습. 김기범 기자

현재 내성천은 흙탕물이 방류되고 난 뒤 상류의 녹조가 하류까지 점령했다. 내성천 대부분 지역에 녹조가 번졌다. 모래강의 원형을 간직한 마지막 하천, 국가명승 회룡포를 품은 맑은 강은 지금 찾을 수 없다. 내성천 백사장은 멸종위기 어류 흰수마자, 먹황새 등이 찾아오는 것으로 유명했으나 지금은 이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지난달 5일 영주댐에서 방류한 흙탕물로 경북 예천군 용궁면 내성천의 국가명승 제16호 회룡포 주변이 누렇게 물든 모습. 김기범 기자

내성천을 흙탕물로 만든 지난 여름 집중호우는 ‘예상치 못한 선물’을 안겨주기도 했다. 홍수로 대량의 물을 방류하면서 상류의 모래가 흘러내려 온 덕분에 회룡포 등의 모래밭 일부가 회복됐다. 영주댐에서는 7월13일부터 8월8일까지 모두 1억8000만t의 물을 방류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사람이 수년간 망쳐놓은 것을 홍수가, 즉 자연이 단기간에 복원시킨 것”이라며 “자연이 내성천을 살릴 기회를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영주댐 담수 이전(2016년 7월19일)과 담수 이후(지난 9월10일)의 내성천이 변화된 모습. 내성천은 모래톱이 잘 발달하면서 모래강의 원형을 유지한 하천이라 불렸던 곳이나 담수 이후 육역화가 진행되면서 식물들이 모래톱을 차지한 상태다. 생태지평 시민생태조사단 제공

전문가, 환경단체 활동가 들은 내성천 천변 생태계를 되찾으려면 영주댐 방류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지난달 5일 기자와 함께 현장을 돌아본 김진홍 중앙대 건설환경공학부 명예교수는 “홍수로 인해 모래톱 일부가 회복되고, 식생이 모래에 파묻힌 상태지만 앞으로 다시 육역화(식생이 확장해 육지처럼 변하는 현상)가 진행될 수 있다”며 “모래톱의 식생을 걷어내고, 물을 방류함으로써 내성천이 고유 생태계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수공은 녹조 대책으로 녹조제거 설비를 운영 중이라지만 이는 근본 대책이 안 된다”며 “담수를 중단하고 물을 방류해 내성천의 건강성을 회복시키고, 주민 건강을 지키는 조치도 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