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DB손보, 치료비 보장 펫보험 잇단 출시

임성원 2023. 9. 17. 18: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00만 펫시장' 겨냥 차별화
차주질환 보유해도 가입가능
작년말 가입 건수 7만1896건
"진료비 표준화 시급" 지적도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반려견과 함께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사저에서 주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1500만 반려인을 겨냥해 반려동물보험(펫보험) 상품을 앞다퉈 선보이고 있다. 윤석열 정부도 국정 과제로 펫보험 시장 활성화를 앞세우고 있어 향후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정부가 '반려동물 진료비 표준화' 등 제도적 기반 마련 속도를 내지 못한다는 점은 걸림돌이다. 시장 활성화를 위해 실질적으로 선행돼야 할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7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펫보험 가입 건수는 7만1896건이다. 지난 2018년 가입 건수(7005건)와 비교하면 10배 이상 늘었다. 가파른 증가세에 비해 가입률은 아직 1% 미만으로 미미하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체 반려동물 개체 수는 약 799만 마리로 추정된다. 펫보험 가입률은 아직 0.8%에 그치는 것이다.

스웨덴(40%), 영국(25%), 노르웨이(14%) 등에 비하면 저조한 수준이다. 손보사들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시장으로 보고 타사와 차별화한 보장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펫보험 시장에서 후발주자인 KB손해보험은 이달 초 '부담보 인수'를 적용해 펫보험 가입 문턱을 낮췄다. 슬개골 탈구, 알러지 및 아토피(만성피부염), 치주질환질병이 있는 강아지나 고양이도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KB손보는 지난 6월 업계 처음으로 자기부담금을 없앤 펫보험을 선보인 이후 치료비 보장 비율을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90%로 확대, 고객 확보에 나섰다.

앞서 지난 7월 DB손해보험은 최대 2000만원까지 반려견 치료비를 보장하는 펫보험 상품을 내놨다. 이 상품은 보험업계 최초로 반려견 MRI·CT 촬영 시 일당 한도를 최대 100만원까지 늘렸다. 현대해상도 지난 7월 양육 과정에서 보호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와 질환을 보장해 주는 펫보험을 선보였다. 보호자가 입원 시 반려동물 시터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돌봄비' 담보도 포함했다.

손보사들은 타사 대비 경쟁력있는 담보로 반려인들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 정부도 반려동물 연관 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정작 가입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하다는 점은 한계로 꼽힌다.

시장 활성화의 최대 걸림돌은 반려동물 표준 수가제가 도입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재 반려동물 진료비는 표준화되지 않아 같은 질병이라도 '부르는 게 값'이라고 할 정도로 동물병원마다 진료비가 천차만별이다. 반려동물 등록제, 동물 진료 관련 진료기록부 발급, 청구 전산 시스템 등 관련 쳬계도 미흡하다. 이로 인해 보험료 산정과 손해율 관리가 어렵고, 관련 데이터 부족으로 상품 개발과 보장 담보를 확대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관련 제도 정비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110대 국정과제에 펫보험 활성화를 포함하며 정부 주도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금융위원회, 농림축산식품부, 금융감독원, 보험연구원, 수의사 대표 단체 등 관련 부처와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다만 보험업계와 수의업계 간 관련 법안 내용과 개선 방향에 이견을 보이며 논의 속도는 더뎠다. 올해 4월에는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정부·업계 협력 강화' 세미나를 열고 관련 논의를 했다. 당시 세미나에서 보험업계는 금융당국에 반려동물 등록제 개선, 진료항목 표준화, 청구 전산화, 질병코드 최소 한도 통일 등을 위한 인프라 개선을 요청했다.

정부는 연내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반려동물 연령대별·질병 특성별 보험료 및 보장 범위를 세분화하는 내용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펫보험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지만 이해관계자 간 조율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단기간에 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임성원기자 sone@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