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에 물리면 피부염증·쇼크···세계 최강 침입종에 지구촌 '공포'

김태원 기자 2023. 9. 16. 16:2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악명 높은 외래 침입종 붉은불개미. 연합뉴스
[서울경제]

남미산 붉은불개미(red fire ant)가 영토를 넓혀 전 세계에 비상등이 켜졌다. 침입 능력이 세계에서 가장 강하고 피해 유발도 큰 이 개미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유럽에도 정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개미는 한 세기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남미를 벗어나 미국, 멕시코, 카리브해는 물론 중국, 대만, 호주에도 침입해 정착했다. 붉은불개미가 침입한 뒤 퇴치에 성공한 국가는 뉴질랜드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페인 진화생물학연구소(IBE) 연구팀은 12일 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이탈리아 시칠리아의 시라쿠사시 인근 강 하구와 공원 등 4.7㏊(헥타르)에서 88개의 붉은불개미 둥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이 붉은불개미 군집은 중국 또는 미국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럽 도시 지역의 절반이 붉은불개미 서식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돼 앞으로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붉은불개미 원산지(녹색 점)와 침입해 정착한 지역들(붉은 점). 연합뉴스

논문 교신저자인 마티아 멘체티 IBE 연구원(박사과정)은 "이 지역 주민들은 적어도 2019년부터 붉은불개미에게 물렸다고 말한다"면서 "이 개미들은 상당 기간 이 지역에서 서식했고 실제 확산 범위도 훨씬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남미가 원산지로 학명이 '솔레놉시스 인빅타'(Solenopsis invicta)인 붉은불개미는 세계 각지로 빠르게 퍼지면서 현재 여러 국가에서 생태계와 농업, 인류 건강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외래 침입종으로 꼽히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전에 스페인, 핀란드, 네덜란드 등에서 수입 제품에서 붉은불개미가 발견된 적은 있지만 대륙 내 정착이 확인된 적은 없었다.

연구팀은 붉은불개미는 외래 침입종 중 피해 유발 규모가 5번째로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붉은불개미에게 물리면 심한 자극과 통증, 피부 염증과 알레르기 반응은 물론 아나필락시스(과민성) 쇼크까지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붉은불개미 둥지 88개가 발견된 곳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섬 시라쿠사시 교외에 있는 강 하구와 자연공원 등이다.

연구팀은 이 지역은 외부와 차단된 고립된 곳으로 붉은불개미가 처음 진입한 곳일 가능성은 작다며 붉은불개미가 유입된 곳은 인근 시라쿠사시의 상업 항구같이 사람의 활동이 많은 곳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유럽 지역의 붉은불개미 서식 적합(G) 및 2050년 전망(H). 연합뉴스

이어 여왕개미 유전자 분석 결과 이 지역 붉은불개미들은 남미가 아니라 중국이나 미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유입 경로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어 시칠리아의 바람 패턴을 분석해 붉은불개미가 어떻게 확산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종합 모델을 만들어 다른 유럽과 지중해 지역이 붉은불개미 서식에 얼마나 적합한지, 향후 기후 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현재 붉은불개미 서식에 적합한 지역은 유럽 대륙의 약 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럽 도시 지역의 절반은 이 개미의 서식에 기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파리와 런던, 바르셀로나, 로마 등 대도시도 붉은불개미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개미는 개체수가 많고 공격성이 강해 주민들의 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어 항구로 밀접하게 연결된 지중해 연안 도시들은 붉은불개미 유입에 가장 적합한 환경이라며 기후변화 요인까지 고려하면 붉은불개미가 유럽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는 시나리오는 훨씬 더 악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자인 로저 빌라 박사는 "붉은불개미 위협을 관리하려면 이들이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확산하기 전에 조기 발견해 대응할 수 있는 조율된 노력이 필수적"이라며 붉은불개미 모니터링을 더 넓은 지역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우리나라에도 지난달 28일 부산항 자성대 부두에서 붉은불개미 150여마리가 발견돼 긴급방제에 나선 바 있다.

방역당국은 반경 50m를 방제 구역으로 설정하고 부두 전체에 개미 포획기 800여개를 둬 역학조사와 소독작업을 실시했다.

붉은불개미는 세계자연보존연맹이 선정한 세계 100대 악성침입외래종이다.

김태원 기자 revival@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