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내일/손효림]한 치 앞 모르는 삶, 충만하게 몰입할 대상 있나요

손효림 문화부장 2023. 9. 15. 23: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생에 확실한 건 없어요. 내일 어떻게 될지 모르죠. 그러기에 오늘이 더 중요합니다."

사진 에세이 '그래서 우리의 삶은 반복되어도 싱그럽다'를 최근 펴낸 박승정 서울아산병원 석좌교수(69)에게 출간 이유를 묻자 돌아온 답이다.

박 교수는 1만 장 넘는 사진과 함께 일기를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을 늘 품고 있었다고 한다.

아무 목적 없이 그 자체로 기쁨을 느끼게 하는 대상이 주는 힘, 그리고 사진 에세이 출간이라는 마음먹은 일을 해낸 데 따른 뿌듯함이 전해져 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찰나 담는 사진, 정교한 회화 즐기기도
유한한 시간, 환하게 채우는 방법 찾길
손효림 문화부장
“인생에 확실한 건 없어요. 내일 어떻게 될지 모르죠. 그러기에 오늘이 더 중요합니다.”

사진 에세이 ‘그래서 우리의 삶은 반복되어도 싱그럽다’를 최근 펴낸 박승정 서울아산병원 석좌교수(69)에게 출간 이유를 묻자 돌아온 답이다. 책은 그가 30년 동안 찍은 사진과 오랜 기간 써 온 일기를 선별해 만들었다. 박 교수는 1만 장 넘는 사진과 함께 일기를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을 늘 품고 있었다고 한다. 심장내과 명의(名醫)로 주중 매일 수술을 집도하는 그는 환자들을 보며 마음먹은 걸 행동으로 옮겨야겠다고 다짐했다.

“심장 질환은 갑작스레 찾아와 사람을 쓰러지게 하는 경우가 많아요. 저 역시 언제 눈을 감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짙어지자 지금 이 순간이 더 절실하게 다가왔습니다.”

생과 사를 오가는 순간을 늘 마주하는 그이기에 한마디 한마디가 묵직하게 느껴졌다. 현재 고등학생인 늦둥이 셋째 딸은 그에게 시간의 유한함을 특히 자각하게 만든다고 했다.

“저도 늦둥이로 태어나 부모님의 전성기(?)를 못 봤거든요. 늦둥이 딸도 마찬가지겠죠. 30, 40대인 두 딸들에 비해 막내와 함께 보낼 시간이 적다는 사실이 안타까워요.”

찰나의 순간을 담아내는 사진은 그의 몸과 마음을 채워 줬다.

“같은 풍경을 여러 번 찍어도 카메라 각도에 따라 미세하게 달라지는 사진을 보며 놀라움을 느낍니다. 똑같은 사진은 없어요. 그 사진은 오직 하나뿐이죠. 사람들의 얼굴이 모두 다르게 생긴 것처럼요.”

그의 목소리에는 에너지가 가득했다. 아무 목적 없이 그 자체로 기쁨을 느끼게 하는 대상이 주는 힘, 그리고 사진 에세이 출간이라는 마음먹은 일을 해낸 데 따른 뿌듯함이 전해져 왔다.

15∼18세기 유럽 화가의 회화 작품을 구입한 지인도 박 교수와 비슷한 말을 했다. 패션, 음식, 자동차 등에 일절 관심이 없고 꼭 필요한 것만 최소한으로 사는 그가 몇 년 전 그림을 수집하기 시작했다고 말했을 때 깜짝 놀랐다. 그는 “유명 화가의 작품이 아니어서 그리 비싸진 않다”며 “정교한 구도로 짜임새 있게 그린 그림을 보고 있으면 화가 치밀어 오르거나 힘들 때 마음이 가라앉는다”고 했다. 그래서 눈길이 자주 가는 곳에 그림을 두고 상처받거나 지칠 때면 하염없이 바라본다고 한다.

또 다른 지인은 2년 넘게 피트니스센터를 꾸준히 다니며 ‘몸만들기’에 빠져 있다. 그는 “몸은 정직하다. 운동한 만큼, 또 음식을 먹은 만큼 그 결과가 그대로 나타난다”며 웃었다.

마음 둘 곳이 없고 사는 게 괴롭다고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팍팍한 세상에서 마음의 짐을 덜어주거나 기댈 수 있는 무언가를 찾을 필요가 있다. 물질적, 시간적 여유가 있어야만 하는 건 아니다. 자신이 무엇을 통해 위안을 얻는지 찾아내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그러려면 탐색해야 한다. 비용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된다. 미술관, 박물관, 갤러리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전시가 적지 않다. 국립예술단체와 지역문화재단에서는 1만∼2만 원에 수준 높은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작은 도서관, 동네 서점에서 글을 쓰고 낭독을 해 볼 수도 있다.

순수한 기쁨을 느끼는 대상을 찾는다면 삶은 더 충만해지고 내면 역시 단단해질 것이다. 고달프게 여겨지는 이 시간도 언젠가 끝난다. 유한한 시간을 어떤 색깔로 채울지는 자신에게 달렸다.

손효림 문화부장 arysso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