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3~5시만 되면 잠에서 깨는 당신, 심근경색 전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차모(54)씨는 잠들기가 두렵다.
매일 새벽 3~4시쯤 깨고, 일어나면 가슴이 답답하고 다시 잠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진규 서울수면센터 원장은 "수면은 뇌와 심장이 쉬는 시간이다. 저산소 수면호흡장애가 있는 경우 수면 중에 심장이 쉬지 못하게 되면서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새벽에 자주 깨는 증상이 있다면 저산소 수면호흡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차모(54)씨는 잠들기가 두렵다. 매일 새벽 3~4시쯤 깨고, 일어나면 가슴이 답답하고 다시 잠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종합건강검진에서도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증상이 계속돼 원인을 찾기 위해 수면클리닉에서 수면 다원 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 1시간에 65회의 저산소 증상이 나타나는 중증의 저산소 수면호흡장애로 심근경색 위험 판정을 받았다. 이후 저산소 수면호흡장애 치료기인 양압기를 꾸준히 사용한 결과, 새벽에 항상 일어나는 증상이 사라졌다.
심장에 무리가 가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가 수면장애이다. 특히 수면장애 중 하나인 저산소 수면호흡장애가 고혈압·관상동맥 질환·심부전·부정맥 같은 심혈관 질환과 밀접하게 관련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메트로헬스 수면의학센터 데니스 오클리 박사는 저산소 수면호흡장애 환자에게 3개월간 지속적인 양압기 치료를 한 결과, 심혈관 질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됐다고 발표했다. 심혈관 장애를 가진 환자 중 25%가 저산소 수면호흡장애가 있고, 양압기 치료를 한 결과 심혈관 질환을 줄이는 효과를 보았다는 것이다.
한진규 서울수면센터 원장은 “수면은 뇌와 심장이 쉬는 시간이다. 저산소 수면호흡장애가 있는 경우 수면 중에 심장이 쉬지 못하게 되면서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새벽에 자주 깨는 증상이 있다면 저산소 수면호흡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고 했다.
저산소 수면호흡장애 치료법으로는 비교적 가벼운 상태의 경우에 수면 자세를 바꾸거나 체중 감량·금연·금주·운동 등 비수술적 치료법이 시행되고, 저산소 수면호흡장애가 중등도 이상이라면 양압기 치료가 최선이다.
한진규 원장은 “저산소 수면호흡장애는 심장 기능을 떨어뜨리거나 심하면 급사로 이어지게 할 수 있는 무서운 증상이다. 이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양압기 치료 외에는 어떠한 수술도 심혈관 장애 합병증을 예방했다는 결과 보고가 없다”고 했다.
한 원장은 “5년 이상 치료 후 심혈관 장애 합병증 발생률이 정상인과 동일하게 떨어지고 사용 후 3개월 이후부터 혈압까지 안정되는 효과가 입증된 치료도 현재까지는 양압기 치료만이 유일하기에 실제로 심장과 뇌에 문제를 일으키는 무호흡 치료의 경우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산소 수면호흡장애를 진단하려면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며, 저산소 수면호흡장애로 인한 수면 다원 검사나 양압기 치료는 현재 건강보험이 적용되기에 사전 진료를 통해 확인하고 치료하는 게 좋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보, 사랑해요"... 치매 실종 아내에 띄우는 '전하지 못한 러브레터'
- '사생활 유출' 방송 중단했던 한성주, 12년 만 공개석상
- 바다, '도박 파문' 슈 언급에 눈물..."쓴소리에 멀어져, 꼭 돌아오길"
- 김병만 "母, 지난해 사고로 사망...미칠 것 같아" 오열 ('캡틴 킴')
- 영암 일가족 사망…"남편 약독물사, 가족 흉기 손상사 추정"
- "괴롭힘당한 아이 외면 안해" 14차례 악성민원 버틴 대전 교사
- 조인성·박선영, 뜬금없이 결혼설…"사실무근"
- 이옥주 "17년 전 공개입양한 딸, 고민거리 됐다...고백 ('사랑은2')
- '그것'을 둘러싼 남성들의 알 수 없는 집착에 관하여
- '통계 마사지' 오명... 국가 공인 부동산 통계는 왜 신뢰 잃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