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패권국 노리며 국제질서 판 흔드는 일본
美 끌어들여 中 봉쇄전략 세워
‘한반도 긴장’ 국익 도움 판단도
美·中 패권전쟁 사이 낀 한국은
안보·경제 선택 압박에 시달려
日 견제 속 구체 대응방안 제시
일본이 온다/김현철/쌤앤파커스/2만2000원
“당시 일본은 2017년 1월에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집요하게 설득해 그해 11월에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양국 공동 외교 전략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것은 지금까지 아시아에서만 서로 대립하던 중·일 관계가 미·중 패권경쟁으로 옮아가는 시작점이 되었다. 그러니 바로 그 직후에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은 작심하고 일본을 비난했다.”
일본은 2010년대까지만 해도 아시아의 패권국이었으나 이후 중국에 그 자리를 넘겨주고 센카쿠 열도 분쟁으로 중국과 갈등이 고조됐다. 그러나 앞서 두 번의 전쟁 때와 달리 20년간의 경기침체로 경제력과 군사력이 뒷받침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러자 미국을 끌어들여 중국을 봉쇄하고 대만과 한반도에 긴장을 고조시켜 아시아 패권을 다시 차지하려고 한다고 저자는 분석한다.
일본은 왜 한반도의 긴장을 원할까. 저자는 한반도를 분단 상태로 고착시켜 놓아야 일본의 국익이 극대화된다는 일본 보수 우익의 한반도관으로 그 이유를 설명한다.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망한 후 미국은 일본을 비군사화했지만,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일본 자위대 전신인 경찰예비대 설치를 허용했다. 또 일본은 당시 유엔군의 보급기지가 돼 태평양전쟁으로 초토화됐던 경제를 기사회생시킬 수 있었다.
미국 입장에선 일본이 제안한 인도태평양 전략으로 턱밑까지 쫓아온 중국을 견제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백인 중산층의 몰락과 실업 문제에 대한 불만을 중국으로 돌릴 수 있었다.
그렇게 시작된 미·중 패권 전쟁은 전 세계 경제를 위기로 몰아넣었고, 한국은 최전방의 최대 피해국이 됐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한국은 ‘안보냐, 경제냐’ 선택의 기로에 서야 했다. 하지만 저자는 결코 양자택일의 문제가 될 수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한반도의 긴장을 이용하려는 일본의 끊임없는 대외 팽창 시도를 견제하며 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들도 제시한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이 경제의 발목을 잡는 정치를 견제하되, 혐오하지 말고 건강한 긴장 관계를 유지하는 것 아닐까.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