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선택 대전 교사 기리는 추모제 열려…동료·시민들 발걸음 이어져
추모 영상 시작돼자 곳곳에서 눈물 터져
설동호 대전시 교육감 추모사 시작하자 참가자들 단체로 등 돌려
[대전=뉴시스]김도현 기자 = 악성 민원으로 극단적 선택을 한 대전 교사를 기리기 위해 추모제가 열린 가운데 숨진 교사를 기리기 위해 동료 교사와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15일 오후 5시 30분 대전 서구 시 교육청 동문 옆 도로에서 악성 민원으로 극단적 선택을 한 용산초 교사를 기리기 위해 동료 교사들과 시민, 교육청 관계자들이 줄지었다.
전국교사노조와 초등교사노조를 비롯해 대전시 3개 단체가 주최한 추모제가 시작되기 전부터 추모제 참가자들은 도로 한편에 마련된 장소에 우비를 입고 앉아 추모제를 기다렸다.
참가자들은 흰색 또는 검은색 우비를 입고 검은 옷을 입은 채 대부분 국화 한 송이씩을 들고 자리에 앉아있었다.
추모제가 시작된 뒤에도 추모제에 참가하기 위한 동료 교사나 시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다.
자리에 앉지 못한 추모제 참가자들은 옆에 있는 인도에서 바라보거나 보라매공원에 서서 추모제를 바라보기도 했으며 일부 시민은 아이들과 함께 참가하기도 했다.
주최 측에서는 약 800명이 추모제에 참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추모제가 시작되고 돌아가신 교사를 기리는 영상이 시작되자 곳곳에서는 눈물을 흘리는 참가자가 있는 반면 한 시민은 손수건을 얼굴에 댄 채 오열하기도 했다.
추모제가 시작될 당시 빗방울이 많이 떨어지지 않았으나 추모제가 진행될수록 빗방울이 굵어져 참가자들은 우비를 다시 입거나 서서 보는 참가자들은 손에 들고 있던 우산을 펼쳤다.
전교조 대전지부와 초등교사노조 관계자는 단상에 올라와 고인의 명복을 빌며 “비통한 심정이며 인권이 없는 교실에서 악성 민원과 폭언을 견디며 책임을 져야 했고 교육 당국으로부터 도움을 받지도 못했고 이러한 모든 것을 운에 맡겨야만 하는 현실”이라며 “지도가 불가능한 아이들과 4년 간의 괴롭힘 및 악성 민원을 견디는 상황에서 법과 제도의 도움도 받지 못하고 좋은 선생님이 되지 못한 것에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했다.
이어 “마지막까지 좋은 선생님이고 싶었던 꿈은 우리가 이뤄가야 한다”라며 “살아남은 선생님께 약속한다. 아동복지법을 개정해 악성 민원 방지 방안을 법제화하고 교권을 보호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고 교사가 가르치고 학생이 배우는 기본적인 가치를 다시 세우겠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후 설동호 대전시 교육감이 추모사를 위해 단상에 오르자 참가자들 사이에서 “사퇴하라”라는 외침이 들려왔다.
설 교육감의 추모사가 시작되자 참가자들은 야유를 보내거나 추모사를 듣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기 위해 등을 돌려 앉은 채 “내려와”를 연신 외치기도 했다.
설 교육감의 추모사가 끝난 후 내려오자 한 시민이 설 교육감을 찾아와 “제가 그 전부터 말씀을 드렸음에도 왜 이 지경까지 오게 만드느냐”라며 따졌고 교육청 관계자들로부터 제지됐다.
대전교장단 대표는 “선배 교사로서 힘든 일을 함께 못했고 예견된 일을 막지 못했다”라며 “문제를 스스로 알아차리고 목소리를 높여 외치고 교육 당국과 국회에 호소했더라면 선생님의 죽음을 막을 수 있었을지 모르겠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학부모 악성 민원과 폭언, 폭행 등 교육활동 침해를 예방하고 교사들의 교육권과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부당한 압력이 있을 경우 교장이 나서서 보호하며 교육권 침해가 발생할 경우 앞장서서 해결하고 교사들의 교육권 보호를 위해 교육청과 교육부에 법적인 제도를 마련하도록 요구하겠다고 호소했다.
이어진 동료 교사는 추모사를 통해 “돌아가신 선생님은 전입한 동료며 전임한 첫해에 제가 많이 적응하기 힘들고 낯선 업무로 어려워하자 저를 도와주는 따뜻한 동료 교사였다”라며 “심지어 제 첫째의 담임 선생님이 돼 너무나 기뻤고 아이들 이름을 불러주는 목소리가 아직도 생생하다”라고 울먹였다.
이어 “괴롭힘당하는 아이를 외면하지 않고 홀로 악성 민원을 받아내며 아이를 지키려고 했고 일부 아이들이 친구 뺨을 때리는 등 폭력을 일삼아도 교육적 지도를 위해 학부모와 상담하는 등 최선을 다했다”라며 “왜 교장과 교감은 선생님을 보호하지 않았는지 이해할 수 없고 교권보호위원회는 열어주지 않으면서 학교폭력위원회를 여는 것이 맞는지 묻고 싶다. 앞으로는 미안하지 않게 교육 환경을 바꿀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라고 토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dh1917@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살해, 시신 훼손·유기' 軍장교, 38세 양광준…머그샷 공개
- '성폭행범' 고영욱, 이상민 저격 "내 명의로 대출받고 연장 안돼서…"
- '강석우 딸' 강다은, 파격 의상…"우아함 넘쳐"
- "마약 자수합니다"…김나정 前아나운서, 경찰에 고발당해(종합)
- '인간사육장'에서 18년 지낸 34살 女…지정된 상대와 결혼까지
- '사기 의혹' 티아라 출신 아름, 딸 출산 후 넷째 임신(종합)
- 토니안 "우울증·대인기피증 진단…어떻게 하면 멋있게 죽을까 생각"
- 머스크 '정부효율부 수장' 발탁…정책·예산 최고실세
- 용준형♥현아, 달달한 신혼 일상…日서 데이트
- "아내 숨졌다" 통곡한 신입에 모두 아파했는데 기막힌 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