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보험 후발주자 KB손보, 보장 차별화로 업계 '메기' 될까
마케팅과 치료비 보장 강화로 고객 확보
펫보험 저조한 가입률엔 고민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최근 KB손해보험이 반려동물보험(펫보험) 시장의 후발주자로 참여하면서 업계의 판이 커지고 있다. KB손보는 후발주자라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반려인의 감성을 자극하는 마케팅과 치료비 보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고객 확보에 나섰다. 다만 펫보험의 저조한 가입률은 보험사들의 고민거리다. 보험사들은 펫보험이 아직은 1% 미만의 가입률을 보이고 있으나 좋은 상품을 출시해 가입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KB손해보험이 펫보험 시장 경쟁에 참전했다. KB손해보험은 지난 6월 업계 최초로 자기부담금을 없앤 'KB 금쪽같은 펫보험'을 출시했다. 치료비 보장 비율도 업계 최고인 90%까지 확대했다.
KB손보에 따르면 'KB 금쪽같은 펫보험'은 판매 첫 달 1억 원이 넘는 매출액을 달성했다. 반려동물 나이가 어릴수록 펫보험 가입 수요가 컸으며, 매달 내는 보험료 부담이 있더라도 탄탄한 보장을 원했다는 분석이다.
지난 6일에는 해당 펫보험에 '부담보 인수'를 적용해 질병이 있는 반려동물도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예를 들면 소형 강아지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슬개골 탈구'로 치료를 받은 강아지의 경우, 이를 고지하고 '근골격계 질환' 부담보로 펫보험 가입이 가능하다.
KB손보는 후발주자라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치료비 보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고객 확보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KB손보 관계자는 "(펫보험) 후발주자로서 고객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 기존 출시된 상품들의 좋은점은 벤치마킹하고, 부족한 점은 보완해서 준비기간만 1년에 걸친 상품"이라며 "KB금융경영연구원 반려동물보고서 설문 등을 참고했고, 견종별 위험도(평균 진료비)를 분석해 합리적인 보험료로 가입가능 하도록 반영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보험료 대비 부족한 보장에 대한 부분을 보완하게 위해 반료동물 치료비 보장비율 90%·자기부담금 0원 플랜을 출시했고, 보장비율 90~50%로 설정해 고객의 선택권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보험사들도 펫보험 시장 공략을 위해 의료비 지원 금액을 늘리는 등 다양한 상품을 내놓고 있다. DB손해보험은 지난 7월 반려견 치료비를 실손 보장하는 '펫블리 반려견보험'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보험업계 최초로 반려견 MRI, CT 촬영 시 일당 한도를 최대 100만 원까지 늘려주는 추가 보장 담보를 탑재했다.
현대해상도 기존 반려견만의 의료비 보장을 지원하던 펫보험 상품의 보장범위를 확대했다. 보호자와 반려견 모두를 보장하는 '현대해상굿앤굿우리펫보험'을 지난 7월 내놓았다. 양육과정에서 보호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와 질환 관련 보장을 신설했으며 보호자가 입원 시 반려동물 시터 비용으로 활용 가능한 '반려동물돌봄비' 담보도 포함하고 있다.
보험사들의 잇따른 상품 출시로 펫보험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펫보험 명가는 지난해 원수보험료 기준 78.3% 시장점유율을 자랑하는 메리츠화재다.
다만 펫보험의 저조한 가입률은 보험사들의 고민거리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펫보험 보유계약은 약 7만2000건으로 가입률은 0.8% 수준이다. 타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낮다. 타 선진국의 가입률은 스웨덴 40.0%, 영국 25.0%, 노르웨이 14.0% 등이다.
보험사들은 펫보험이 아직은 1% 미만의 가입률을 보이고 있으나 좋은 상품을 출시해 가입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사 관계자는 "펫보험이 1년 단위의 일반보험에서 이제 장기보험 형태로 가고 있는데 사실 장기보험의 출시는 오래되진 않아서 보험상품도 발전하는 과정 중에 있다"며 "상품이 좋아지면 당연히 가입률도 오를 것 같다. 더불어 수가 표준화 등의 제도적 정비도 함께한다면 더 가파르게 상승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윤석열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펫보험 시장 활성화 방안'이 올해 중 발표될 전망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4월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정부·업계 협력 강화' 세미나를 열고 관련 논의를 했다. 세미나에서 보험업계는 금융당국에 반려동물등록제 개선, 진료항목 표준화, 청구 전산화, 질병코드 최소한도 통일 등을 위한 인프라 개선을 요구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10월 사퇴, 차기 대표는 김두관?' [TF포착]
- [신당역 살인 1년②] 뼈아픈 검경·사법부 오판…피해자 보호 '구멍' 여전
- '유령직원' 의혹에, '부실' 논란까지…태영건설 청년주택 '엉망진창'?
- '장관-특보-장관(후보자)'…자전거 타고 출근하는 유인촌 [TF포착]
- [르포] 디즈니·픽사·마블 한 곳에…서울 첫 상륙한 '디즈니스토어' 가보니
- [김병헌의 체인지] 이재명의 단식과 검찰조사, 체포동의안 다음은?
- '경찰 부정청탁 혐의' 은수미 전 성남시장, 징역 2년 확정
- 주1회·파트제…다양해진 방송사 드라마 편성 전략[TF초점]
- [나의 인생곡(137)] 윤항기 '정든배', 키보이스 시절 추억의 명곡
- 삼성vs한화생명 불꽃 튀는 경쟁…GA 중심 보험영업 판도 바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