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두고 온 것은[관계의 재발견/고수리]

고수리 에세이스트 2023. 9. 14. 23: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무 살, 상경해서 처음으로 얻었던 방은 월세 18만 원짜리 남녀 공용 고시원 방이었다.

얇은 합판을 덧대어 가른 방은 방음이 되지 않았고, 어둠 속에 들려오는 텔레비전 소리에 다들 나란히 누워 살아 있구나 실감했다.

처음으로 각자의 방을 나눠 가진 집에서 살았다.

방과 방을 전전하며 살다 보니 공간에 애착이 없기 때문일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무 살, 상경해서 처음으로 얻었던 방은 월세 18만 원짜리 남녀 공용 고시원 방이었다. 창문 없는 길쭉한 방. 방문을 걸어 잠그고 웅크려 누우면 어둡고 눅눅한 관 속에 눕는 기분이었다. 얇은 합판을 덧대어 가른 방은 방음이 되지 않았고, 어둠 속에 들려오는 텔레비전 소리에 다들 나란히 누워 살아 있구나 실감했다. 가장 작고 좁고 무섭고 외로운 방이었다.
고수리 에세이스트
문을 열면 바퀴벌레 수십 마리가 사사삭 흩어지던, 집주인에게 속아 들어간 방. 유흥가 중앙에 반짝이던 고시원, 모텔촌에 숨어 있던 고시원, 강남 빌딩촌 뒷골목에 놓여 있던 고시원. 고시 공부를 한 것도 아닌데 고시원을 전전하며 머물렀다. 짐을 챙겨 방문을 나서는 순간, 내 흔적은 감쪽같이 사라져 건물 이름조차 생각나지 않는 비슷비슷한 방들이었다.

남동생이 상경하고 같이 살았던 마지막 집이 제일 좋았다. 장례식장 옆에 지어진 오래된 연립주택. 처음으로 각자의 방을 나눠 가진 집에서 살았다. 우리는 퇴근길에 같이 장을 봐와 밥을 지어 먹고 설거지하고 방을 쓸고 닦고 빨래를 갰다. 생활이라 할 만한 일상과 흔적이 생겨났다. 그 집에 두고 온 게 하나 있다.

방과 방을 전전하며 살다 보니 공간에 애착이 없기 때문일까. 나는 공간을 예쁘게 꾸미는 일에 무심한 편이었다. 따로 화장대를 두지 않고 벽거울 앞을 서성이며 화장하곤 했는데, 동생은 그런 내가 마음이 쓰였나 보다. 한밤중에 어디선가 화장대 하나를 주워 왔다. 뭐랄까, 어느 집 할머니가 썼을 법한 키 작고 아주 예스러운 원목 화장대였다. 서랍을 열면 합판에 빨간 부직포 천이 붙어 있었다. “누나, 이제 여기서 화장해.”

화장대 앞에 앉아 거울을 보고 있자니 웃음이 새어 나왔다. 왜 이렇게 귀엽고 찡한 거지. 찡한데 웃기고, 웃긴데 고맙고, 고마운데 촌스럽고, 촌스러운데 또 짠하고. 동생 눈치를 살피며 쓰는 척하다간 그냥 두었다. 그 화장대, 동생이 맨 나중에 집을 떠나면서 어딘가 버렸을 텐데. 가끔 생각난다. 한밤에 촌스러운 화장대를 낑낑 짊어지고 5층 계단을 올라왔을 동생의 마음이.

결혼하면서 짐을 챙겨 먼저 그 집에서 나오던 겨울밤, 남동생 앞에서 으엉으엉 어린애처럼 울음이 터졌다. “야, 나 이제 가.” “고생했어, 누나. 잘 살아.” 동생은 나를 안아주었다. 그날 되게 추운 겨울밤이었는데도 따뜻했다. 우리는 그 집에 추억을 두고 왔다. 아침에도 곡소리가 들리던 장례식장 옆의 허름한 연립주택. 겨울엔 너무 춥고 여름엔 너무 더웠던 오래된 집. 그러나 생활과 추억이 있어 비로소 사람 사는 것 같았던 집. 도시살이에서 유일하게 따스했던 우리 집이었다.

고수리 에세이스트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