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사진가] 그림 흉내내던 사진, 독립시킨 스티글리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장 차림의 위층 사람들은 무심한 표정으로 먼 곳을 바라보고 있다.
미국 근대사진의 아버지로 불리는 앨프리드 스티글리츠(1864~1946)가 1907년 대형 여객선의 일등 선실과 삼등 선실을 한 프레임에 담은 작품 '삼등선실'의 풍경이다.
당시 세계 최대 산업국가로 부상한 미국의 계층 간 차이를 시각적으로 드러낸 이 장면은 현대 사진의 전환점과 같은 작품이었다.
스티글리츠는 20세기 초 우아하고 고상한 그림을 흉내 내던 사진을 회화로부터 독립시킨 인물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장 차림의 위층 사람들은 무심한 표정으로 먼 곳을 바라보고 있다. 남루한 행색의 아래층 사람들은 지친 표정이 역력하다. 미국 근대사진의 아버지로 불리는 앨프리드 스티글리츠(1864~1946)가 1907년 대형 여객선의 일등 선실과 삼등 선실을 한 프레임에 담은 작품 '삼등선실'의 풍경이다.
당시 세계 최대 산업국가로 부상한 미국의 계층 간 차이를 시각적으로 드러낸 이 장면은 현대 사진의 전환점과 같은 작품이었다.
스티글리츠는 20세기 초 우아하고 고상한 그림을 흉내 내던 사진을 회화로부터 독립시킨 인물이다. 그 출발점은 1893년 촬영한 ‘종착역’이었다. 한겨울 도심에서 마차를 끄는 말의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수증기를 찍어 회화에서 보여줄 수 없는 역동성과 현실감을 담아냈다. 이 같은 사진을 확산하기 위해 스티글리츠는 1902년 ‘사진분리파’를 결성하고, 이듬해 ‘카메라 워크’를 창간했다. 이어 그는 대표작 ‘삼등선실’을 촬영해 평범한 일상에서도 미적 완성도 높은 작품을 담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뉴욕에 갤러리291을 열어 마티스, 피카소 같은 작가들의 작품을 미국에서 전시하는 등 미국 예술의 발전을 이끌었다.
신경훈 기자 khshin@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날 밤부터 오픈런 행렬…'700만원' 블랙핑크 자전거 韓 왔다 [종합]
- 18억이던 금호동 아파트 두 달 만에…뜀박질하는 서울 집값
- "삼성전자 오르면 여기부터 수혜"…큰손들 '우르르' 몰렸다
- '전기차업체 조사'에 뿔난 중국…EU 노린 보복카드 '만지작'
- "절반이 흑역사"…고난 딛고 전 세계 사로잡은 'K라면 원조'
- 8억에 3억 더 사기…잘나가던 가수, 어쩌다가
- 유인촌 문체부 장관 후보자 "블랙리스트 문제, 다시 볼 것"
- "이재영, 학폭 안 했다고?"…뿔난 피해자들 법적 대응
- '짝퉁' 샤넬 팔아 24억 챙겼다…패션 인플루언서 '철창행'
- 노르웨이 공주, 美 무속인과 내년 결혼…국왕 "기쁘다"